•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살홍어

살홍어Dipturus tengu (Jordan & Fowler, 1903)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Elasmobranchii > Rajiformes홍어목 > Rajidae홍어과 > Dipturus살홍어속 >
  • 종설명(Description)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22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11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남중국해산 홍어과 (연골어강, 홍어과) 어류 신종, Okamejei mengae sp. nov. 중국 상해수산대학에 소장된 어류 표본 중에 남중국해에서 채집된 1개체의 표본(295 mm TL)을 근거로 하여 홍어속(Okamejei) 어류의 신종을 기재하였다. 홍어속 어류는 북서태평양에 6종, 인도양에 3종이 서식하여 전세계에 9종이 유효하다. 호주 해역에는 홍어속의 미기재종 1종과 근연종으로 살홍어속(Dipturus)으로 소속이 변경된 3종이 서식한다. Okamejei mengae sp. nov.는 문연골 길이가 두장의 54.3%로 주둥이가 짧고, 꼬리부가 전장의 48.5%로 길고, 미극이 3열, 신경두개의 상생체공의 전단부가 명확하게 구별되는 점 등으로 홍어속에 포함된다. 이 종은 복추골이 23개로서 적고, 등지느러미 앞까지의 미추골이 50개로 많으며, 가슴지느러미의 복사연골이 96개로 많은 특징 등으로 동일속의 9종 및 근연종 등 13종과 명확히 구별된다. 또한 뾰족하게 돌출된 주둥이, 양안간격이 6.7배로 긴 두장, 넓은 꼬리, 좁은 제1등지느러미와 제2등지느러미의 거리, 짧은 제2등지느러미 뒤의 길이, 체반 등쪽에 작고 짙은 갈색 반점이 전체적으로 분포하지만 큰 반점은 없고, 배쪽의 로렌치니 병상 기관은 가슴지느러미의 후담기연골(metapterygium)의 뒤까지 분포하며, 견갑오훼연골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신종과 전 세계 홍어속 및 근연종 등 13종과의 특징 비교표를 작성하였으며, 북서태평양에 서식하는 7종에 대한 새로운 분류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Jeong, Choong-Hoon,Nakabo, Tetsuji,Wu, Han Ling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5866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살홍어
      Dipturus tengu
      대한민국 2015-11-1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