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가시투성이곤쟁이

가시투성이곤쟁이Disacanthomysis dybowskii (Derzhavin, 1913)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Mysida곤쟁이목 > Mysidae곤쟁이과 > Disacanthomysis >
국내기록문헌 : Ii N. 1964. Fauna Japonica, Mysidae (Crustacea). Biogeographical Society of Japan,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610pp.
  • 종설명(Description)

    •   이 종에 관한 생물학적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생식과 관련하여 거의 모든 종에서 동일하게 곤쟁이의 암컷은 여섯 번째 흉지(가슴다리)의 바닥 근처에 위치한 난관의 외부 생식기 구멍을 통해 알을 보육낭 속으로 내보낸다. 수컷이 이 보육낭 속으로 정자를 배출하여 체외수정이 이루어진다. 보육낭 속의 수정란은 배아단계, 노플리우스 1기(눈이 없음), 후기노플리우스의 발생과정을 거쳐 유체(성체와 닮은꼴)단계에 이르면 유체는 보육낭을 빠져 나와 개체로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Mauchline, 1980).
        곤쟁이의 생식 이외에 먹이와 식성, 생리, 환경 요소에 대한 반응, 개체군 동태, 포식자와 기생 등에 관한 것은 종과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이것들에 관한 내용은 Tattersall and Tattersall (1951) 및 Mauchline (1980) 등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   갑각의 앞쪽 가장자리는 작고 뾰족한 액각(rostrum)을 형성하며, 앞쪽 양옆 모서리는 예리하게 뾰족하다. 눈자루를 포함한 눈의 길이는 폭과 거의 비슷하고, 각막은 콩팥모양으로 전체 눈의 2/3를 차지하며, 눈자루에는 등쪽에서 보아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제2촉각비늘은 양면 모두에 강모(setae)가 존재하며, 정점부분(apex)은 둥글고 말단 마디 경계선(suture)이 존재한다. 촉각비늘의 길이는 너비의 7배를 넘는다.
        제3~8흉지 내지(endopod)의 전완절(carpopropodus)의 마디 수는 5~7개로 다양하고, 장절(merus)에는 다수의 강모(setae)로 이루어진 5~6 강모 그룹이 있다.
        수컷의 제4복지는 마지막 복절의 중간지점을 너머 뒤쪽으로 뻗어 있고, 내지는 1마디로 되어 있고, 외지는 2마디로 나뉘며, 제1마디의 길이는 내지의 2배이고 제2마디의 6배이다. 제4복지 제1마디의 바깥쪽 먼 모서리의 깃털같은 강모는 제2마디보다 약간 길며, 제2마디 끝에 2개의 긴 강모의 길이는 제2마디의 3배이다.
        미지 내지(uropodal endopod)의 평형포 근처에 약 13개의 가시가 있다. 암컷의 복지(pleopods)는 모두 발달되어 있지 않다. 수컷에서는 제4, 5복지를 제외하고 나머지는 1마디로 되어 있다. 제4복지의 내지는 외지의 절반 길이이고, 외지는 2마디로 되어 있고, 그 끝에는 미늘이 있는(barbed) 2개의 강모가 존재한다. 제5복지는 단지형(uniramous)이고 2마디로 되어 있다. 미절(telson)은 넓고, 혀 모양 또는 넓은 주걱 형태이며, 가장자리에 균등하지 않은 수많은 가시가 있는데 먼 쪽 절반부에는 큰 가시 사이에 크기가 점차 커지는 2~6개의 작은 가시 그룹으로 장식되어 있다. 미절 끝에는 2개의 큰 가시가 있고 그 둘 사이에 2개의 작은 가시가 있다.
        Disacanthomysis dybowskii는 체장이 큰 대형이며, 콩팥모양의 각막을 가진 큰 눈, 흉지 내지 장절의 5~6개의 강모 그룹, 넓게 퍼진 주걱 모양의 미절에 의해 다른 종들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3].

    •   이 종의 생태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연안에 주로 서식하며 비교적 대형이며 암수의 최대 체장은 약 25mm에 이르고, 암컷의 보육낭에서 24개의 배(embroys)를 관찰할 수 있었다[3][7].

    •   동해안 함경남도 홍원 및 울산 연안[3]

    •   대한해협, 베링해, 알라스카, 벤쿠버에 이르는 북태평양 연안[1][4][5][7]

    • 참고문헌

      [1]. Derzhavin AN. 1913. 2. Neue Mysiden von der Küste der Halbinsel Kamtschatka. Zoologischer Anzeiger. 43: 197-204.
      [2]. Holmquist C. 1981. The genus Acanthomysis Czerniavsky, 1882 (Crustacea, Mysidacea). Zool. Jb. Syst. 108(3): 386-415.
      [3]. Ii N. 1964. Fauna Japonica, Mysidae (Crustacea). Biogeographical Society of Japan. 610pp.
      [4]. Ii N. Studies on Japanese Mysidacea I. Descriptions of new and some already known species belonging to the gen\-era, Neomysis, Acanthomysis and Proneomysis. Japanese Journal of Zoology. 1936;6:577-619.
      [5]. Kathman RD, Austin WC, Saltman JC, Fulton JD. 1986. Identification manual of the Mysidacea and Euphausiacea of the northeast Pacific. - Can. Spec. Publ. Fish. Aquat. Sci., 93: 1-411.
      [6]. Mauchline J. 1980. The biology of mysids and euphausids. Advances in Maine Biology. 18: 1-681.
      [7]. Tattersall WM. 1951. A review of the Mysidacea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Bulletin of the United States National Museum. 201: 1-292.
      [8]. Tattersall WM, Tattersall OS. 1951. The British Mysidacea. Ray Society. 136. London. VIII, 460 pp.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25289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투성이곤쟁이
      Disacanthomysis dybowskii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2022-04-12
      MABIK CR0025289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투성이곤쟁이
      Disacanthomysis dybowskii
      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군 병곡면 2022-04-1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