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대롱집게Discorsopagurus maclaughlinae Komai, 1995
대롱집게는 연갑강, 십각목, 집게과, 대롱집게속의 일종으로 갑각은 너비보다 길이가 살짝 더 길고 이마뿔은 삼각형의 형이며 그 끝이 살짝 뾰족하다. 옆돌기는 삼각형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가시들을 갖는다. 눈자루는 갑각의 약 0.7-0.8 배 정도의 길이로 등쪽 중앙부에 털들이 열을 지어 나 있으며 각막은 옆으로 퍼져 있지 않다. 더듬이 자루는 눈자루보다 길고 각막의 끝부분을 살짝 넘어선다. 더듬이는 짧은 털들을 갖는다. 오른쪽 협각이 왼쪽보다 더 크고 갑각의 길이보다 4-5배 가량 되는 길이이다. 집게발은 폭에 비해 길이가 2.0-2.2 배 정도 길다. 왼쪽 협각은 오른쪽 협각의 발가락 마디에 닿는 정도의 길이이다. Dactylus 는 손바닥 보다 길고 전체 표면에 짧은 털들의 뭉치를 갖고 있다. 복부는 크고, 부풀어 있으며 대부분 반듯하지만 살짝 휘어져 있다. 생태적으로 갯지렁이 서관에서 발견되었다.
일본 홋카이도, 러시아 보스토크만
삼척, 강릉, 주문진, 양양 등 동해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3 | 3 | 3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2 | 1 | 3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1 | 3 | ||
NCBI (Discorsopagurus maclaughlina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