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가시납작숨이Doropygus rigidus Ooishi, 1962
Cnemidocarpa areolate (Heller, 1878); Herdmania momus (Savigny, 1816); Cnemidocarpa irene (Hartmeyer, 1806); Styela tokiokai Nishikawa, 1991; Pyura vittate (Stimpson, 1852)를 숙주로 서식한다.
[1]
전체부의 길이는 2.89mm이다. 몸은 좌우로 납작하며, 외골격이 두껍고 체절 사이의 경계가 뚜렷하다. 두절은 특징적으로 측면에 뾰족한 돌기를 가진다. 후체부는 6마디이다. 후복부는 말단으로 가면서 점점 좁아진다. 이마돌기는 앞으로 돌출한 작은 돌기 모양이다. 제1흉지의 외지와 내지는 3마디이며, 기절의 말단에는 가는 미세강모가 달려 있고, 바깥쪽 강모는 밋밋하고 뭉툭하다. 제1흉지 외지 첫마디의 바깥 가시는 크고 셋째 마디의 중간부까지 도달한다. 제2~제4흉지는 3마디로 된 외지와 2마디로 된 가느다란 내지를 가진다. 제4흉지절은 알 모양이다. 제5흉지절은 등판을 가진다.
[1]
일본
강원도, 경상남도, 제주도
출처
[1]. Kim IH. 2012. Invertebrate Fauna of Korea - vol.21 no.20: Ascidicolous Copepods Arthropoda: Maxillopoda: Copepoda: Cyclopod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 Kim IH. 2012. Invertebrate Fauna of Korea - vol.21 no.20: Ascidicolous Copepods Arthropoda: Maxillopoda: Copepoda: Cyclopod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3 | 2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2 | 3 | 3 |
NCBI (Doropygus rigid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