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미끌풀

미끌풀Dumontia simplex Cotton, 1906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Gigartinales돌가사리목 > Dumontiaceae미끌풀과 > Dumontia미끌풀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엽상체는 자홍색으로 연골질이며, 체장은 15~25cm이다. 반상의 소형 부착로 기질에 부착한다. 직립지는 1개 혹은 여러개가 모여난다. 엽상부는 편압하며, 기부에서 소수의 가지를 낸다. 중상부에서는 가지가 없고 전연이다. 정단부는 넓고 뭉툭하다. 엽상체는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점액질이 많아서 미끌 미끌하다, 사분포자낭은 엽상지의 피층속에 산재한다. 낭과는 엽상체의 표면에 산재한다. 조하대의 중부의 암반에 생육하며, 봄과 여름에 출현한다.

    •   야마다비단잘록이

    •   전 계절에 생육

    •   식물체는 자홍색이며 막질은 엷고 미끌미끌하고 연하며 건조하면 대지에 잘 붙는다. 소반상형의 기부에서 여러 개가 뭉쳐나며, 짧은 줄기로 된 하부와 엷고 평평한 막질의 상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축은 댓잎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가지는 기부에서 간혹 형성되나, 중부나 상부는 가지가 없다.(Choi et al., 2016 편집 인용)
      [1]

    •   조간대 중부, 하부 암반

    •   태평양 연안

    •   동해안, 남해안, 제주도

    •   특별한 용도가 알려진 바 없음

    •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국토해양부 해양 극한생물분자유전체 사업단. 안산. pp. 233. Cotton, A.D. 1906. Marine algae from Corea. Bulletin of Miscellaneous Information, Royal Botanic Gardens, Kew 1906: 366-373

      1. 강제원. 1968. 한국식물도감. 제8권 식물편(해조류). 문교부. 서울. 465 pp.

      2.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국토해양부 해양․극한생물분자유전체 연구단. 233 pp.

      3. Cotton, A. D. 1906. Marine algae from Corea. Bulletin of Miscellaneous Information, Royal Botanic Gardens, Kew 1906: 366-373.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2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1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1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류와 군집구조의 월별변화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상과 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993년 9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및 홍조류 61종이었다 해조상 특성은 출현종을 기준으로 혼합성으로 밝혀졌다. 연중 우점종은 불등풀가사리이며, 준우점종으로는 지충이, 구멍갈파래 및 톳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작은구슬산호말, 바위수염, 참풀가사리 (5월$\~$10월), 미끌풀, 지충이-톳, 구멍갈파래, 애기돌가사리, 참까막살이 분포하였다. 오병건,이재완,이해복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80건, 1/56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751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끌풀
      Dumontia simplex
      대한민국 2011-03-03
      MABIK AL0000751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끌풀
      Dumontia simplex
      대한민국 2011-03-03
      MABIK AL0000751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끌풀
      Dumontia simplex
      대한민국 2011-03-03
      MABIK AL000075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끌풀
      Dumontia simplex
      대한민국 2011-03-03
      MABIK AL0000751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미끌풀
      Dumontia simplex
      대한민국 2011-03-0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