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당멸치Elops hawaiensis Regan, 1909
체장은 75cm에 이른다. 체측은 약하게 측편되어 있으며 체형은 긴 방추형이다. 몸 전체의 체색은 은백색이며, 등 쪽의 체색은 흑은색이다. 등지느러미 외연과 꼬리지느러미 외연은 진회색이다.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체측 중앙이거나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등지느러미 외연의 중앙부는 오목하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하단부에 위치하며, 그 후단은 배지느러미에 훨씬 미치지 못한다. 배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며, 그 후단은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의 위치에 이른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보다 훨씬 후방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외연 중간은 오목하다. 항문은 뒷지느러미 전방에 위치하며, 등지느러미 기저 후단보다 후방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정형이다. 주둥이 전방의 상하악은 동일하게 전방에 있다. 상악 후단은 안경 후단을 훨씬 지난다. 하악의 복면에 후판(gular plate)의 특이한 구조가 있다. 안경 주위에 눈꺼풀이 발달되어 있다. 양악, 서골 및 구개골에 작은 융모형 이빨이 있다. 비늘은 원린이며 체측 전체에 덮여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기저상단에 부속비늘이 덮여 있다. 아가미 후단부터 미병부까지 일직선의 측선이 있다. 수심 30m 이내의 기수역 및 인접 해역에 서식한다.
연해를 회유하는 어류로 기수에도 들어오며, 렙토세팔루스 유생 시기를 거쳐 어미가 된다.
[1]
몸은 긴 방추형이고 단면은 원통형에 가깝다. 입은 눈 지름보다 크고, 눈 지름과 주둥이 길이는 비슷하다.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몸의 중앙에 거의 대칭으로 위치한다. 가슴지느러미는 아가미 뒤의 배 쪽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상엽과 하엽으로 깊게 갈라졌다. 몸은 전체적으로 은백색을 띠고, 각 지느러미는 약간 검다. 전장 약 60cm.
[1]
일본, 대만, 중국, 베트남, 태국, 필리핀, 호주
진해, 부산, 강원도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Smith, D.G., 1997. Elopidae. Ladyfishes, tenpounders. p. 1619-1620. In K.E. Carpenter and V.H. Niem (eds.)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CP. Vol. 3. Batoid fishes, chimaeras and bony fishes part 1 (Elopidae to Linophrynidae). FAO, Rome.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3 | 3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3 | 3 | 3 | 3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3 | 3 | 3 |
NCBI (Elops hawaiensis)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