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91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4. 저염 멸치젓의 가공 옛부터 남도지방에서 즐겨 먹어 온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의 하나인 멸치젓은 다른 젓갈류와 마찬가지로 식염함량이 높아 그 짠맛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식염농도가 낮은 멸치 젓을 가공하고자 에틸알코올, 젖산 및 솔비톨을 첨가하여 저염멸치젓의 가공조건과 아울러 BHA 또는 고추가루를 첨가하였을 때의 항산화효과를 실험하였다. 원료멸치에 식염을 $8\%$ , BHA를$0.02\%$ 혹은 고추가루를$0.5\%$ 첨가한 저염멸치첫은 식염을$20\%$ 첨가하고 BHA를$0.02\%$ 첨가한 것과 마찬가지로 관능검사 결과 숙성 55일경에 가장 맛이 좋았으며, 휘발성염기질소는 숙성 90일 이후에도 100 mg/100 g 범위였다. 또한 아미노질소함량은 숙성 55일경에 가장 높았다. TBA값은 BHA를$0.02\%$ 첨가한 제품이 염농도에 관계없이 항산화력이 가장 좋았으며, 고추가루를$0.5\%$ 첨가한 제품은 BHA 보다는 항산화력이 떨어지나 대조시료와 비교하여 볼 때 유도기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과산화물값은 TBA값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균수는 숙성기간중 저염(식염$8\%$ )젓 이 대조제품(식염$20\%$ ) 보다 생균수가 낮았다. 원료멸치에 대하여 젖산$0.5\%$ , 솔비톨$6\%$ 및 에틸알코올$4\%$ 를 첨가함으로써 재래식멸치젓(식염 약$20\%$ ) 보다 식염함량을$\frac{1}{3}$ 정도 감소시킨 저염젓갈을 가공할 수 있었으며, 저장성도 있고 맛도 좋았다.lla sp.와 Navicula sp. 및 Chaetoceros sp. 등의 연안내만성종이다. 이들중 8월의 Rihzosolenia alata f. gracillima와 11월의 Astrionella gracillima는 특히 우세하였다.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82.4\sim89.1\%$ 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50.0\sim70.5\%$ 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차용준,박향숙,조순영,이응호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전자선 조사한 건조 멸치류에서 유도된 지방분해산물의 분석 건조된 국멸치와 지리멸치 및 밴댕이에 1, 3, 5, 7 및 10 kGy의 선량으로 전자선을 조사하여 비조사 시료와 조사된 시료에서 지방을 추출한 후 전자선 조사 시 유도 생성되는 hydrocarbon류를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하였으며, hydrocarbon류의 함량 및 분해패턴은 GC/MS로 확인하였다. 전자선 조사된 건조 멸치류에서 palmitic acid로부터 생성되는 1-tetradecene( $C_{14:1}$ ), pentadecane($C_{15:0}$ )과 stearic acid로부터 1-hexadecene($C_{16:1}$ ), heptadecane($C_{17:0}$ ) 및 oleic acid로부터 8-heptadecene($C_{17:1}$ ), 1,7-hexadecadiene($C_{16:2}$ )이 확인되었으며, 6종의 hydrocarbon류는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다. 건조된 멸치류에서 유기용매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는 pentadecane($C_{15:0}$ ) 및 heptadecane($C_{17:0}$ )을 제외한 hydrocarbon류 중 8-heptadecene($C_{17:1}$ )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tetradecene($C_{14:1}$ ), 1-hexadecene($C_{16:1}$ ), 1,7-hexadecadiene($C_{16:2}$ ) 순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전자선 조사된 건조 멸치류에서 분석된 hydrocarbon류 중 1-tetradecene($C_{14:1}$ ), 1-hexadecene($C_{16:1}$ ) 그리고 8-heptadecene($C_{17:1}$ ) 및 1,7-hexadecadiene($C_{16:2}$ )은 전자선 조사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홍영신,김경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황해 중부에서 저층 트롤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ish, caught by bottom trawling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east of Korea),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6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studied at four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46 species, 31 families, and 14 order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Engraulis japonicus, Larimichthys polyactis, Johnius grypotus, Liparis tanakae, and Larimicthys crocea. 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s, richness, diversity, and dominance to gain a measure of the biodiversity.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4 (50,053 individuals), while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1 (44,090 individuals).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at St. 2 (E = 0.65) and lowest at St. 3 (E = 0.62).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at St. 4 (H@@@@ = 2.31) and lowest at St. 3 (H@@@@ = 2.23).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at St. 3 (D = 54.9%) and lowest at St. 2 (D = 47.7%). 주현,추보라,이성훈,유태식,한경호 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황해 중부에서 저층 트롤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ish, caught by bottom trawling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east of Korea),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6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studied at four research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46 species, 31 families, and 14 order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Engraulis japonicus, Larimichthys polyactis, Johnius grypotus, Liparis tanakae, and Larimicthys crocea.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s, richness, diversity, and dominance to gain a measure of the biodiversity.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4 (50,053 individuals), while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1 (44,090 individuals).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at St. 2 (E = 0.65) and lowest at St. 3 (E = 0.62).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at St. 4 (H’ = 2.31) and lowest at St. 3 (H’ = 2.23).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at St. 3 (D = 54.9%) and lowest at St. 2 (D = 47.7%). 주현,추보라,이성훈,유태식,한경호 (사)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한국 서해에 출현하는 붕장어 (Conger myriaster)의 식성 Total 158 Conger myriaster were examined and the range of Preanal length (PaL) was 8.2~40.1 cm and average Preanal length was 17.3 cm. Proportion of the empty stomach was 30.4% and individuals, which the prey items were found in stomach, were 110. The most important prey component in the diets of C. myriaster was Pisces that constituted 54.4% in %IR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Engraulis japonicus was the most important prey component in Pisces. Macrura was the second largest prey component and Crangon hakodatei was the most important prey component in Macrura. The result of analysis in ontogenetic changes significantly exhibited among three size classes (<15.0 cm, 15.0~20.0 cm, ≥20.0 cm). The proportion of Macrura decreased as increasing body size, whereas the consumption of Pisces increased gradually. As body size of C. myriaster increased, the mean weight of prey per stomach (mW/ST) increased (one way-ANOVA, P<0.05). 강다연,김도균,성기창,진수연,정재묵,강수경,백근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76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속성 멸치액젓 및 이의 제조방법 2012-0135891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원문정보 멸치와 버섯류, 해조류, 야채류, 배추김치를 이용한쌀밥용 비빔소재 제조방법 2004-0021116 한국식품연구원 원문정보 즉석 미역 된장국 및 그 제조방법 2002-0071161 여수대학교산학협력단 | 주식회사 보양 원문정보 해초된장 및 해초된장 분말의 제조방법 2009-0054794 권용석 원문정보 홍삼이 가미된 멸치가공스낵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이 가미된 멸치가공스낵 1020180099245 바다영어조합법인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Engraulis japonicus 멸치 강원도 식용,농사용 바다에서 멸치를 잡아 명석 위에 널어 말렸다가, 물에 불려서 미역과 함께 국을 끓여 먹는다.
멸치를 잡아 소금에 절여서 젓갈로 담아두었다가 김치를 담을 때 젓갈로 사용한다.
멸치가 많이 잡히던 시절에는 날 것을 밭에 뿌려 거름으로 사용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