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대문바리

대문바리Epinephelus areolatus (Forsskål, 1775)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Epinephelidae > Epinephelus우레기속 >
  • 종설명(Description)

    •   수심 6~600 m에 서식하며 유어는 수심 약 80 m에 분포하며 주로 얕은 대륙붕에 위치한 산호초, 해초층 등지에 서식한다. 최대 약 47 cm까지 성장하며 제한된 산란기를 가지고 부유성 초기생활사를 보낸다. 주로 새우와 게같은 무척추동물과 어류를 섭식한다.
      [1]

    •   몸은 측편형으로 입은 크고 양눈 사이 공간은 약간 볼록하다. 위턱보다 아래턱이 더 돌출되어 있으며 주상악골 후단은 눈의 뒷 가장자리까지 뻗어있다. 전새개골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의 거치를 가지며 모서리에 3개의 가시가 있고 주새개골에 크고 강한 3개의 가시가 있다. 등지느러미 극조는 가늘며 극조 중 세번째 극조가 가장 길다. 배지느러미는 삼각형이고, 그 끝이 항문에 거의 도달한다. 뒷지느러미의 연조부는 둥글고 꼬리지느러미는 약간 만입된 절단형이다. 머리와 몸 및 모든 지느러미에 활갈색 반점이 산재하고 꼬리지느러미 뒤 끝 가장자리는 흰색을 띤다.
      [2]

    •   홍해, 남아프리카, 동부, 일본 남부, 호주 북부 등 인도-태평양

    •   제주

    • 출처

      [1]. Randall JE, Allen GR, Steene RC. 1990. Fishes of the Great Barrier Reef and Coral S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Moran MJ, Jenke J, Burton C, Clarke D. 1988. The Western Australian trap and line fishery on the Northwest Shelf. Western Australian Marine Research Laboratories. FIRTA Project 86/28, Final Report.
      Heemstra PC, Randall JE. 1993.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Polovina JJ, Ralston S. 1987. Tropical snappers and groupers : biology and fisheries management. Westview Press.
      Kailola PJ, Williams MJ, Stewart PC, Reichelt RE, McNee A, Grieve C. 1993. Australian fisheries resources. Bureau of Resource Sciences.
      Randall JE, Heemstra PC. 1991. Revision of Indo-Pacific groupers (Perciformes: Serranidae: Epinephelinae), with descriptions of five new species. Indo-Pacific Fishes. 20: 332
      Carpenter KE, Niem VH. 1999.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 4. Bony fishes part 2 (Mugilidae to Carangida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 Kim MJ. 2010. First Record of Epinephelus areolatus (Perciformes: Serranid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3(4): 340-342.

    • [3]. Randall JE, Allen GR, Steene RC. 1990. Fishes of the Great Barrier Reef and Coral Sea. University of Hawaii Press.
      Moran MJ, Jenke J, Burton C, Clarke D. 1988. The Western Australian trap and line fishery on the Northwest Shelf. Western Australian Marine Research Laboratories. FIRTA Project 86/28, Final Report.
      Heemstra PC, Randall JE. 1993. FAO Species Catalogue. Vol. 16. Groupers of the world (family Serranidae, subfamily Epinephelinae).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the grouper, rockcod, hind, coral grouper and lyretail species known to dat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Polovina JJ, Ralston S. 1987. Tropical snappers and groupers : biology and fisheries management. Westview Press.
      Kailola PJ, Williams MJ, Stewart PC, Reichelt RE, McNee A, Grieve C. 1993. Australian fisheries resources. Bureau of Resource Sciences.
      Randall JE, Heemstra PC. 1991. Revision of Indo-Pacific groupers (Perciformes: Serranidae: Epinephelinae), with descriptions of five new species. Indo-Pacific Fishes. 20: 332
      Carpenter KE, Niem VH. 1999. FAO species identification guide for fishery purposes. The living marine resources of the Western Central Pacific. Vol. 4. Bony fishes part 2 (Mugilidae to Carangida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4]. Kim MJ. 2010. First Record of Epinephelus areolatus (Perciformes: Serranidae) from Korea.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13(4): 340-342.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32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23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5161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문바리
      Epinephelus areolatus
      대한민국 2008-12-02
      MABIK PI0006128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문바리
      Epinephelus areolatus
      2016-05-27
      MABIK PI0006129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문바리
      Epinephelus areolatus
      2016-05-27
      MABIK PI0006129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대문바리
      Epinephelus areolatus
      2016-05-27
      PKU 62936_t 해양어류자원 조직 대문바리
      Epinephelus areolatus
      대한민국 2008-12-02 480 mg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