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댕기망둑

댕기망둑Eutaeniichthys gilli Jordan & Snyder, 190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Gobiidae망둑어과 > Eutaeniichthys댕기망둑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몸길이는 약 5cm이다. 몸은 가늘고 길다. 머리는 종편되었고 미병부는 측편되었다. 위턱은 아래턱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었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나뉘며, 제2등지느러미 기저부는 길다. 뒷지느러미는 제2등지느러미 기저부보다 짧고 제2등지느러미 뒤쪽에서 시작한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다. 몸의 비늘은 피부에 묻혀 있다. 몸은 연한 황백색 바탕에 등 쪽은 진하며, 체측에는 흑갈색 무늬가 있으며 이는 꼬리지느러미 후단부까지 이어진다. 연안의 조간대에 서식한다.

    •   연안에서 서식하며, 실뱀장어잡이 그물에 잡힌다(충남 아산만).
      [1]

    •   몸은 가늘고 길며, 머리는 종편되고 후반부는 측편되었다. 주둥이는 짧고, 위턱이 아래턱보다 길다. 등지느러미는 2개로 분리되고, 제2등지느러미의 기저부는 길다. 뒷지느러미는 제2등지느러미보다 기저부가 짧고 좀 더 뒤에서 시작된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다. 비늘은 피부에 묻혀 있다. 몸은 연한 황백색 바탕에 등쪽은 진하고, 체측 중앙에 흑갈색 세로줄이 있으며, 이 줄무늬는 꼬리지느러미 위까지 이어진다. 전장 약 5 cm.
      [2]

    •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Vol. 1.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437 p.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남해군 삼동면 연안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남해 삼동면 연안의 사질과 잘피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소형 beam trawl과 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두 곳의 조사지점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총 19종이었다.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돌팍망둑, 감성돔, 베도라치,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 복섬 등이 공통으로 출현하였고, 이 중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베도라치, 복섬은 잘피밭에서, 돌팍망둑, 감성돔,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는 사질연안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실비늘치와 해마, 볼락, 농어, 독가시치는 잘피밭에서만 출현하였고, 풀반지, 숭어, 쑤기미, 양태, 쥐노래미, 알롱횟대, 꼼치, 동갈양태, 댕기망둑은 사질에서만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 대부분은 소형어나 유어로 남해 연안의 잘피밭과 사질연안이 이들 어류의 성육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현 종수는 2011년 8~9월에, 개체수는 2011년 8월이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2011년 4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개체수 및 생체량은 사질연안에 비하여 모두 잘피밭에서 높았으며, 사질연안에서는 잘피밭을 선호하는 어류들이 다수 출현하였지만, 잘피밭에서는 사질연안을 선호하는 어종이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김준섭,이용득,이승환,박준수,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2건, 1/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4844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댕기망둑
      Eutaeniichthys gilli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2018-07-17
      MABIK PI0004845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댕기망둑
      Eutaeniichthys gilli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2018-07-17
      MABIK PI000484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댕기망둑
      Eutaeniichthys gilli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2018-07-17
      MABIK PI000484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댕기망둑
      Eutaeniichthys gilli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2018-07-17
      MABIK PI000484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댕기망둑
      Eutaeniichthys gilli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2018-07-1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