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새조개

새조개Fulvia mutica (Reeve, 1844)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Mollusca연체동물문 > Bivalvia이매패강 > Cardiida새조개목 > Cardiidae새조개과 > Fulvia새조개속 >
  • 종설명(Description)

    •   각고(Height) 71mm, 각폭(Width) 80mm. 패각은 구형이며 껍질은 얇고 좌, 우 패각은 부풀어 있으며 각정은 중앙에 다소 높게 위치한다. 뒤쪽의 등선과 배선이 둥글다. 광택이 있는 연한 황갈색이고 각정 부분은 밝고 분홍색의 톱니모양 무늬가 있으며 짙은 방사륵을 가지고 있다. 패각 내면은 백색에 자색이 혼합되어 있다. 주치는 2개이며 그 중 1개는 가시처럼 돌출되어 있다. 측치는 양옆에 판상으로 발달한다. 배선에는 치상벽이 약하게 나타난다. 조하대 5~30m 모래바닥에 산다. 산란기는 5~10월이다.

    •   조간대 하부에서부터 조하대 수심 약 50m의 거친 모래지대에 서식한다.
      [1]

    •   패각은 원형에 가까운 부채꼴 모양의 중형이다. 표면은 흰색 바탕에 뚜렷한 방사륵이 펼쳐져 있다. 패각의 가장자리에는 각피모가 발달한다. - 몸길이: 각고 85mm, 각장 85mm, 각폭 70mm
      [1]

    •   일본, 동중국해, 황해, 산동

    •   충남 태안군 채석포, 연포, 춘장대, 경남 남해군, 거제도, 제주도

    •   (논문) 새조개 연체부위의 색소 동정.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 25권 6호(1074-1079페이지). 1996년 12월 31일 ; 전북 해안 지역별 패류의 중금속 함량.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제 29권 5호(758-761페이지). 2000년 10월 30일 ; 새조개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액상 조미료 소재 개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 10권 4호(521-527페이지). 1997년 12월 30일 ; 새조개 처리동결 가공부산물을 이용한 페이스트 젓갈 제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 10권 4호(528-532페이지). 1997년 12월 30일 (출처 : 한국전통지식포탈)

    •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참고문헌

      1. (원기재) Reeve, L. A. 1844. Conchologia iconica: or, illustrations of the shells of molluscous animals. 2. Monograph of the genus Cardium: sp. 1-64 (sp. 47 excluded), pl. 1-12. London.

      2. (2) 민덕기, 한국패류도감, 도서출판 한글, 2004.

      3. (3) 한국의 연근해 유용연체동물도감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해창만 벗굴, Ostrea denselamellosa 서식지의 환경특성 벗굴을 양식산업에 적용하여 그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이 종에 대한 자연서식지의 환경특성과 이매패의 자원량을 조사하였다. 벗굴 서식지 주변해역에서 수온은 5.5$^{circ}C$-27.4$^{circ}C$의 범위였고, 염분은 31.2-33.4 로 평균 32.3 였다. DO, COD, DIN 및 PO$_{4}$$^{3}$-P은 각각 평균 7.11 mg/L, 0.44 mg/L, 4.55 $mu extrm{g}$-at./L 및 0.36 $mu extrm{g}$-at./L이었다. 표층퇴적물의 입도조성은 사력질, 니사질, 사니질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퇴적물의 IL, COD 및 AVS는 각각 평균 2.6%, 13.70 mg/g dry 및 0.33 mg/g dry였다. 한편,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은 90.3(9월)-1,272.0 cell/ml(2월)이었으며, 우점종은 Skeletonema costatum, Paralia sulcata, Eucampia zodiacus, Chaetoceros curvicetus, Chaetoceros affinis, Chaetoceros debilis, Chaetoceros decipiens, Asterionella glacialis, Pseudo-nitzschia longissima, Pseudonitzschia seriata, Ceratium furca, Ceratium fusus 등이었다. 벗굴 서식지에서 출현한 조개류는 벗굴(Ostrea denselamellosa), 참굴(Crassostrea gigas), 바지락(Tapes philippinarum), 새고막(Scaphaca subcrenata), 피조개(Scaphaca broughtonii), 키조개(Atrina pectinata), 새조개(Fulvia mutica), 진주담치(Mytilus edulis), 살조개(Protothaca jedoensis), 갈색이랑조개(Megacardita ferruginosa) 등 모두 10종이었다. 그리고 이매패류의 평균 자원량은 21개체/$m^2$(479.14 g/$m^2$)이었고, 벗굴은 0.25 개체/$m^2$(231.25 g/$m^2$)로 나타났다. 양문호,한창희,김형섭,최상덕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새조개 (Fulvia mutica) 의 Microsatellite Markers 개발을 위한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의 활용 This study aimed to utilize next-generation sequencing for developing microsatellite markers in Fulvia mutica. The Illumina NovaSeq 6000 System generated a total of 327,584,690 reads, resulting in a sequence length of 49,465,288,190 bp. The de novo assembly yielded an 885 Mb (885,020,821 bp) sequence. In this context, 675,057 contigs longer than 500 bp were identified. Among these, 107,985 contigs containing microsatellite regions were identified, accounting for 15.9%. A total of 105,632 microsatellite loci were found within these 107,985 microsatellite regions. Among these loci, polymorphism information was confirmed at 3,723 (3.5%) microsatellite marker positions. eighty-two primer sets were designed based on the 150 microsatellite loci. As a result, 14 microsatellite loci were selected for estimating population genetic parameters in both wild populations. The mean number of effective alleles was 11, ranging from 7 to 18. The observed heterozygosity (HO) ranged from 0.615 to 0.937, with an average of 0.790, while the expected heterozygosity (HE) ranged from 0.629 to 0.924, also with an average of 0.790.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ompiled panel of 14 microsatellite markers is anticipated to facilitate examining genetic traits within the Fulvia mutica population in Kore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and gene relationships in Fulvia mutica are expected to be crucial data for the managemen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Such information is expected to play a pivotal role in developing conservation and management strategies and formulating policies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utilization of genetic resources. 동춘매,노은수,이미난,김우진,김영옥,김은미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새조개, Fulvia mutica 치패의 저질잠입특성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immersion activity in order to utilize them as a basis for suitable site selection when releasing cockle, Fulvia mutica spat. The cockle, F. mutica spat were spawned from natural broodstock in April, and the cockle spat (shell length 17.96 ± 4.78 mm) were reared in a 2 ton FRP square tank (300 × 100 × 70 cm) for 185 days in a flow-through system. To investigate the sediment immersion activity characteristics, 30 were placed in each sediment grain size of fine sand (0.12 ± 0.03 mm), medium sand (0.93 ± 0.24 mm) and coarse sand (2.69 ± 0.67 mm), and the immersion rate and immersion time of each individual spat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in rate of each 10-20 mm cockle spat was more than 90% within 60 minutes except for the coarse sand, and the immersion time was more than twice as long. 이시우,김위식,김정,이덕찬,김소희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새조개 (Fulvia mutica) 난 발생 및 유생 성장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spawning induction, larval development, spat settling and its growth of the cockle shell, Fulvia mutica, were investigated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seed production. The eggs, which were randomly divided into 6 groups of water temperatures of 14, 17, 20, 23, 26 and 29°C, were transferred into 1 L beaker,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required time (1/h, hour) by each egg developmental stage were calculated. Biological minimum water temperature and the cumulative water temperature until egg development of the veliger stage were calculated to be 0.1°C and 397.3°C, respectively. The optimal water temperature for developmental bioassay of F. mutica was clarified to be 23°C. The required time for the embryo to become veliger larvae was 20 hours at 23°C. 김재민,김상철,허준욱,임상민,김영훈,선승천,강경호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08건, 1/2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MO0001716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조개
      Fulvia mutica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두원면 2011-08-24
      MABIK MO0001723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조개
      Fulvia mutica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 도덕면 2011-05-30
      MABIK MO000173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조개
      Fulvia mutica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2011-03-10
      MABIK MO0001730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조개
      Fulvia mutica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2011-03-10
      MABIK MO0013680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조개
      Fulvia mutica
      대한민국 충청남도 홍성군 2012-07-26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