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전통지식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고감도 HPLC에 의한 시판 중인 패류 및 멍게의 마비성 패류독 모니터링 패류의 안전성 확보와 국가 독성 감시 페계 확립을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울산, 포항, 마산 ,통영, 거제, 사천 등 총 9개 도시에서 유통 중인 패류 및 그 가공품, 수입 패류와 그 가공품 등 총 36종 850점을 2004년 3월부터 총 10회에 걸쳐 10월까지 매월 정기적으로(4월과5월은 2회),수입산과 가공품은 5월, 7월, 9월에 각 1회씩 수거하여 독성을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생산되어 유통되고 있는 패류에는 조사를 시작한 3월부터 마비성 패류 독소가 검출되기 시작하였으며 ,독소 함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양식장에서 진주담치의 채취가 금지된 4월 셋째 주에는 $72.9%$ 의 독 검출율을 나타내어(70개의 시료 중 51개의 패류에서 독소검출)가장 높았고, 이 후 급감하여 5월 셋째 주에는$3.7%$ 이 었으며 ,6월과 7월에는 산발적으로 독소가 검출되었고, 8월 이후는 독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독성은 모두 기준치 (4 MU/g) 이하로, 마우스 검사로 독성이 검출된 것은 4월 마산의 굴(1.9 MU/g)과 사천의 진주담치(1.8MU/g),그리고5월 첫째 주 사천의 개 조개(2.1 MU/g) 뿐이며 , 나머지 시료는 1 MU/g 이하로 모든 시료가 식위생상 안전하였다. 그러나 원산지가 확실하지 않은 수입산 가리비와 피조개의 일부에서는 5월, 9월 시료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시료가 있었으며, 국내산에서 검출되지 않는 7월, 9월에도 독성이 검출되고 있어 철저한 검사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패류 가공품은 마른 진주 담치에서 흔적 정도(0.01 MU/g이하)만 검출되고 나머지는 모두 무독이었다.장준호,김병윤,이종백,윤소미,이종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말쥐치피 및 대구피 콜라겐의 물리화학적 특성 말쥐치피 및 대구피로부터 콜라겐을 추출하여 그 물리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아미노산 조성 중 glutamic acid, hydroxyproline, valine 및 phenylalanine은 말쥐치피 콜라겐이 대구피 콜라겐보다 함량이 높았으나, glycine, proline 및 serine은 오히려 낮았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말쥐치피 콜라겐이 1,000잔기 중 265잔기로 대구피의 229잔기보다 높았다. 말쥐치 및 대구피 콜라겐의 용해도는 모두 pH 7.0에서 가장 낮았으며, pH 5.0 이하의 산성영역에서 용해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점도는 말쥐치피 콜라겐이 대구피 콜라겐보다 높았으며, 각각 pH 4.0 및 pH 2.0에서 가장 높았으나, pH 7.0에서는 모두 가장 낮았다. 콜라겐의 변성온도는 말쥐치피 콜라겐이 $25^{\circ}C$ 로 대구피의$17^{\circ}C$ 보다 높았다. 콜라겐 구성 아미노산의 측쇄 중 소수성 잔기의 노출 정도는 대구피 콜라겐이$50^{\circ}C$ , 말쥐치피 콜라겐은$60^{\circ}C$ 까지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대구피 콜라겐이 말쥐치피 콜라겐에 비해 표면 소수성 노출 정도가 약간 높았다. 보수력은 pH 7.0에서 모두 가장 낮았으며, 대구피 콜라겐이 말쥐치 콜라겐에 비해 높았다. 유화성 및 유화안정성은 대구피 콜라겐이 말쥐치피 콜라겐보다 우수하였다.김세권,강옥주,곽동채 한국응용생명화학회 상세보기 겨울철 산란하는 대구, 꼼치, 노래미 전기 자어의 발달 비교 겨울철 환경에 대한 초기 적응을 조사하기 위해 대구(Gadus macrocephalus), 꼼치(Liparis tanakae),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자어의 부화 직후와 첫 섭식 시 외부형태, 소화기관, 유영능력의 발달을 확인하였으며, 다른 계절에 부화하는 어종과 비교하였다. 평균 전장( ${\pm}SD$ )은 대구$4.35{\pm}0.11mm$ , 꼼치$5.26{\pm}0.08mm$ , 노래미$7.48{\pm}0.35mm$ 로 부화 시 다른 계절 부화자어에 비하여 컸으며, 세 어종 모두 초기소화기관을 갖춘 후 부화하여 다른 계절 부화자어에 비해 초기소화기관 확립시기가 빨랐다. 대구, 꼼치, 노래미의 첫 섭식 시기가 부화 후 3일, 2일, 0일이었고, 난황을 갖고 있는 기간이 5일 이상으로 다른 계절에 부화하는 자어에 비해 혼합섭이기간이 비교적 길었다. 이 3종 자어의 유영능력은 다른 계절 부화자어에 비해 순항유영속도와 돌진유영속도 모두 부화 직후부터 빨랐다. 이러한 특징들은 자어가 생존하기 어려운 겨울철 환경에 대한 자연선택 및 환경적응의 결과로 생각된다.Shin, Min Gyu,Lee, So-Gwang,Lee, Jeong-Tae,Gwak, Woo-Seok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7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어육분말, 어육 가공품 및 그의 제조방법 1020110133839 조영택 원문정보 고압 액화 공정을 이용한 유채대 보릿대구멍갈파래로부터 알코올발효용 당화액 추출방법 및 에탄올제조방법 10200800563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원문정보 오징어 및 피조개를 이용한 어묵 및 영양 어묵제조방법 1020170111307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김지현 원문정보 도루묵 어육을 포함하는 어묵 및 이의 제조방법 1020130058199 한국식품연구원 원문정보 한치 몸통에 명란젓이 주입된 식품 및 그 제조방법 1020090067602 희창물산 주식회사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건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Gadus macrocephalus 대구 강원도 식용,약용,문화용 추울 때 잘 잡히는 대구는 횟감이나 맑은탕, 포로도 사용한다. 보양식으로 먹을 때에는 대추와 전복 등을 함께 넣고 푹 고아서 먹는다.
가을에 잡은 대구의 등을 따고 말려서 포를 만들어 두었다가, 제사를 지낼 때 상에 올린다.
계절과 관계없이 바다에서 잡은 대구를 생으로 탕을 끓여 먹거나, 말려두었다가 구이나 찜으로 먹는다.
생으로 탕을 끓일 때 알은 먹지 않고 버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