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새우붙이

새우붙이Galathea orientalis Stimpson, 1858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Anomura집게하목 > Galatheidae새우붙이과 > Galathea새우붙이속 > Galathea orientalis새우붙이 >
  • 종설명(Description)

    •   이마뿔의 길이는 너비보다 약 1.5배 길며, 4개의 옆가시를 가진다. 갑각의 눈구멍 옆 모서리는 많이 돌출되었으며, 위앞가시가 있고, 아가미 구역 옆가장자리의 양쪽 맨 앞가시 사이의 제3 가로줄은 목홈에 의해서 단절되어 있으며, 옆가장자리에 적당한 크기의 제2앞옆가시가 있으며, 앞아가미 가장자리에 2개의 가시가 있다. 앞옆모판 (그림 28C)의 앞쪽으로 1개의 가시가 있다. 가슴배판은 너비의 약 0.8배의 길이이고, 제3가슴배판마디는 하트 모양이고, 아랫가장자리 중앙은 오목하다. 제2배마디에는 2개의 가로 융기가 있다. 작은더듬이자루의 기부마디에는 3개의 앞가시 가 있다. 제3턱다리의 긴마디의 안쪽에 2개의 가시와 바깥쪽에 2개의 가시를 가지며, 발목마 디의 바깥쪽에는 3개의 가시가 있다. 제1가슴다리의 양쪽 손가락은 끝부분이 숟가락 모양이다. 제1가슴다리에만 윗다리가 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밝은 갈색이고, 갑각과 부속지의 마루와 가시는 밝은 적갈색이다

    •   동해, 남해 및 제주 조하대에서 흔히 발견된다. 돌틈 및 산호 사이에 주로 서식한다.
      [1]

    •   위구역의 앞가장자리에 한 쌍의 가시가 있다. 이마뿔은 길이가 나비보다 1.5배 길고, 양 옆가장자리에 4개의 뾰족한 이가 있다. 작은 더듬이의 첫 번째마디 끝부분에 3개의 가시가 있다.(Kim, 1973 편집 인용)
      [2]

    •   일본, 동중국해, 홍콩, 대만, 오스트레일리아 서부해역

    •   경북, 경남, 제주

    • 출처

      [1].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3].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 참고문헌

      1. (원기재_ Stimpson, W. (1858). Prodromus descriptionis animalium evertebratum, quae in Expeditione ad Oceanum Pacificum Septentrionalem, a Republica Federata missa, Cadwaladaro Ringgold et Johanne Rodgers Ducibus, observavit et descripsit. Pars VII. Crustacea Anomoura. Proceeding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adelphia. 10: 225-252., available online at 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page/47535818#page/245/mode/1up

      2. 대한민국생물지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21권 43호 집게류 II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 가재아재비과, 쏙붙이과, 쏙과, 어리게과, 왕게과, 넓적왼손집게과, 참집게과, 뿔조개집게과, 새우아재비과, 새우붙이과, 바늘이마새우붙이과, 게붙이과, 게가재과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동해안 조식성 무척추동물과 해조류 간 상호작용 조식동물-해조류 상호작용의 크기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12종의 조식동물에 대하여 개체 당 일평균 섭식률 (PCGR, per capita grazing rate, g seaweeds/individual/day)을 구하고, 다른 종들의 섭식률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모형을 만들었다. 조식동물의 생체량과 사제곱근 변환 PCGR은 power curve($y=0.2310x^{0.3290}$)에 적합되었고 모형의 r값은 0.8864였다. 이로부터 조식동물의 PCGR 변동은 생체량과 관계가 있으며, 섭식 효율성은 관찰된 생체량 범위내에서 균일하지 않다는 것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각 종별 생체량 효과가 보정된 PCGR을 추정하였고, 작은 몸체를 갖는 종일수록 보다 효율적인 섭식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서식밀도를 감안한 개체군 별 상호작용(grazing impact, $mg/m^2$)을 계산한 결과, 해조장에 가장 큰 영향을 갖는 개체군은 군소(Aplysia kurodai, 약 $2,513mg/m^2$)인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은 둥근성게(Strongylocentrotus nudus, 약 1,500 mg/)와 새치성게(S. intermedius, $733mg/m^2$)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각류 가운데 단위 면적당 밀도가 4,000 개체 이상인 멜리타옆새우류, Elasmopus sp.와 2,000 개체 이상인 가시꼬리육질꼬리옆새우붙이, Jassa falcata의 섭식량은 각각 3.435와 $1.697mg/m^2/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추정한 조식동물 군집의 종 조성과 서식 밀도가 동일할 때 상호작용의 총합은 $5,045mg/m^2/day$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과 모형 연구로부터 성게류와 군소 외에도 적잖은 상호작용이 높은 밀도를 갖는 많은 수의 종들로부터 해조류에 가해지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성게류의 경우 3 개체/$m^2$의 평균 서식밀도에서 발생하는 섭식량은 국내 천해 양식업의 평균 해조류 생산량(약 5 ton/ha)을 초과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미소 갑각류 역시 낮은 포식압 조건에서 서식밀도가 증가하면 적잖은 충격(해조류 생산량의 약 16%)을 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해조장에 서식하는 조식동물의 밀도가 어류에 의해 강도 높게 조절되고 있음을 감안하면, 어류와 조식동물 간 상호작용에 대한 인간의 간섭(어류의 남획 등)은 해조장에 커다란 변화를 유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재원,김효진,이현정,이창근,김창수,홍재상,홍정표,김동삼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47건, 1/110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1196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우붙이
      Galathea oriental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2011-01-05
      MABIK CR0001207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우붙이
      Galathea oriental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2011-05-09
      MABIK CR0001208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우붙이
      Galathea oriental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2011-05-09
      MABIK CR0001209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우붙이
      Galathea orientali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2011-05-09
      MABIK CR0001210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새우붙이
      Galathea orientalis
      대한민국 남해 2011-12-02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