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제주우뭇가사리Gelidium jejuense K.M.Kim, I.K.Hwang, H.S.Yoon & S.M.Boo, 2012
엽상체는 적자색이고, 체장은 4-10cm이다. 여러 개체들이 엉켜서 자라며 작은 다발을 이룬다. 포복지는 원주상이고, 붓모양이 가근을 내어 암반에 부착한다. 직립부는 편압되어 있으며, 폭은 1-3mm이다., 가지는 대생 혹은 우상으로 약 4회 분지한다. 정단부는 웅툭하고, 정단세포는 초승달 모양이다. 피층은 3-5열의 세포들로 구성되며, 수층은 무색이고 비교적 큰 세포들로 구성된다. 근양사는 수층세포들의 주위에 분포한다. 사분포자낭반은 소지의 끝에 생긴다. 사분포자낭은 십자형으로 분열하고, 크기는 30-50μm x 25-35μm이다. 자성 및 웅성 배우체는 출현하지 않았다. 조간대 하부 또는 조하대의 암반에 부착하여, 파도가 많은 곳에서 자란다. 제주도에서 초겨울에서 여름까지 출현한다.
조간대 하부 및 조하대 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봄~여름에 제주도에서 관찰된다.
[1]
식물체는 진홍색으로, 매우 작은 다발 모양으로 다수의 엽상체가 엉켜 자란다. 포복지는 짧거나 구별하기 어려우며 붓 모양의 가근을 내다. 직립지는 다소 강하게 편압되어 있으며 대생한다.
[1]
제주도, 남해안
한천원료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정행사, 서울. p 233.
김형섭, 황일기 2015. 한국의 조류, 제 4권 10호 해산 홍조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우뭇가사리목, 꼬시래기목, 곱슬이목).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pp. 134
Kim, K.M., I.K. Hwang, H.S. Yoon and S.M. Boo, 2012. Four novel Gelidium species(Gelidiales, Rhodophyta) discovered in Korea: G. coreanum, G. jejuensis, G. minimum and G. prostatum. Phycologia 51: 461-474
NCBI (Gelidium jejuens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