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막우뭇가사리Gelidium vagum Okamura, 1934
식물체는 홍조류 우뭇가사리목 우뭇가사리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서 엽상체는 직립하며, 단독 혹은 뭉쳐 나고, 체장은 3~9cm이다. 기부는 편압되거나 원주형이며, 붓 모양의 가근을 내어 기질에 부착한다. 직립지는 대체로 편압되어 있고, 다소 규칙적으로 호생 혹은 대생으로 분지하여 빗 모양이 된다. 가지의 정단부는 끝이 뾰족하고, 돔-모양의 정단분열세포가 있다. 피층은 2~3 세포열로 구성되며, 붉은색의 세포로 이루어진다. 수층은 무색이 세포로 되어 있으며, 2-3 세포열로 구성된다. 근양사는 수층조직에 산재하나 피층과 수층의 사이에 밀생하며, 직경은 3~4μm이다. 사분포자낭지는 부풀고 편압하여 주걱-모양으로 발달하며, 소지의 끝에 생기며, 폭은 200~250μm, 길이는 250~1000μm이다. 사분포자낭은 피층세포열에서 형성되며, 구형 혹은 타원형으로 크기는 25~30μm x 40~50μm이며, 십자형으로 분열한다. 배우체는 자웅동주이다. 낭과는 부풀고 약간 편압된 2낭실 구조이다. 정자낭지는 소지 정단부의 외피층 세포에서 발달한다.[1]
식물체는 옅은 진홍색이고 조직은 연골질성으로 다소 질기다. 직립지가 뚜렷하게 구분되며 가지는 대생 또는 호생으로 우상분기를 한다. 상부의 가지는 점차적으로 가늘어지고, 직립지는 하부나 중부에 피칭형의 5mm 이하의 소지가 불규칙하게 생성된다. 뿌리 모양의 가근으로 암반에 착생하며, 10cm까지 자란다. 중심줄기는 편압되어 있고, 교대로 나거나 마주나며 깃털 모양으로 분지한다. 정단부는 끝이 뾰족하고, 돔 모양의 정단분열세포가 1개 있다. 수층세포는 비후되어 있으며 근양사는 수층조직 외곽에 분포한다. 하부의 횡단면은 방추형으로 3층의 피층을 갖고 최외곽 피층세포는 구형, 정육면체이고, 수층조직 내외에 근양사가 분포하며 수층세포는 인접한 세포와 원형질 연락사에 의해 연결된다. 중부는 긴 방추형의 횡단면이 나타나고 근양사는 수층조직 외곽에 주로 분포하나 수층조직 내부에도 산재되어 나타나며, 상부 단면은 원형이고 근양사는 수층조직 외곽에 밀집하여 분포한다. 정단세포는 원뿔형태로 돌출되어 있다. 사분포자낭은 상부의 가지에서 형성된 소지의 끝에 타원형으올 형성된다. 종단면에서 중심에 중축세포가 있고 양쪽 피층에 도란형의 사분포자가 배열되어 있다. 과포자낭은 상부의 소지 말단에 방추형으로 형성되고 종단면을 관찰하면 포자낭 중심으로 길게 1층의 중축세포가 2실을 나누고 세포층 양면에 영양세포와 과포자가 형성되며 과포자는 도란형 또는 방망이 모양을 띤다(Kim et al., 2017a)[3]
우리나라 전 해역에 생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조하대에서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관찰되며, 뿌리 모양의 가근으로 암반 또는 산호조류에 부착하여 자라며, 10 cm까지 자란다.[2]
전해역[1]
북서태평양(일본, 중국, 극동 러시아), 미국 태평양 연안 및 네덜란드에 이입된 것으로 보고됨[1]
주로 한천 자원 및 홍조섬유 개발 소재로 이용[1]
참고문헌
[1].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Oh et al. 1990. Algae 1.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정행사, 서울. p 233.
2. 김형섭, 황일기 2015. 한국의 조류, 제 4권 10호 해산 홍조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우뭇가사리목, 꼬시래기목, 곱슬이목).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pp.134.
3. Okamura, K., 1934. On Gelidium and Pterocladia of Japan. Journal of the Imperial Fisheries Institute, Tokyo 29: 47-67.
4. Tseng, C.K. and L.C. Li, 1935. Some marine algae from Tsingtao and Chefoo, Shantung. Bulletin of the Fan Memorial Institute of Biology (Botany) 6: 183-235.
5. Fan, K.-C., 1961. Two new species of Gelidium from China. Botanica Marina 2: 247-248.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2 | 2 | 2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3 | 3 | 3 | 2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2 | 3 |
NCBI (Gelidium vagum)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