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벵에돔

벵에돔Girella punctata Gray, 1835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Centrarchiformes > Girellidae > Girella벵에돔속 >
  • 종설명(Description)

    •   최대체장 50cm. 몸은 짧고 측편되어 있다. 양눈 사이 두정부는 위로 돌출되어 있다. 입은 머리 바로 앞에 위치하며 경사져 있다.
        양턱은 폭넓은 융털모양의 이빨띠가 존재하고 가장 바깥쪽 이빨은 송곳니의 형태를 띄며 바깥으로 노출되어 있다.
        입은 작으며 윗턱의 끝은 눈 앞가장자리에 도달한다. 눈 앞에 작은 비공이 2쌍 존재한다. 꼬리자루는 다소 굵은 편이다.
        측선은 완만한 곡선을 그리며 꼬리지느러미 기저부에 도달한다. 등지느러미는 하나로 유합되어 있으며 극조부와 연조부의 경계가 불확실하다.
        가슴지느러미는 폭이 넓고 끝이 둥근 형태를 띈다. 배지느러미의 끝은 항문에 도달하며 꼬리지느러미는 중앙이 둥글게 패여 있는 형태이다.
        체색은 녹흑색 또는 청흑색으로 전체적으로 어둡다. 비늘은 빗비늘이며 각 지느러미의 기저부에도 작은 비늘이 존재한다.
        연안에 주로 서식하며 암초 사이 또는 자갈지대의 해조류가 번성한 곳에 주로 서식한다.
        산란기는 2~6월로 연중 1회 산란한다. 식성은 해조류와 소형 갑각류, 어류, 무척추동물 등을 섭식한다.
      [1]

    •   깜정이, 깜정고기
      [1]

    •   연안의 바위 지역에 서식하고, 어린 것들은 조수 웅덩이에 무리를 지어 살면서 주로 작은 동물이나 해조류를 먹는다. 산란기는 2∼6월이다.
      [2]

    •   체고가 약간 높은 난형이다. 눈은 머리의 중앙보다 약간 등쪽에 있고, 눈 지름은 주둥이 길이와 비슷하다. 주둥이 끝은 약간 둥글고, 양턱의 길이는 비슷하다. 등지느러미의 극조부와 연조부 사이에는 홈이 없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둥글게 패었다. 측선은 아가미구멍 뒤에서 시작하여 등의 외곽선과 평행을 이룬다. 등은 녹갈색, 배는 은백색을 띠며, 각 비늘에 검은 점이 있어서 몸 전체가 검게 보인다. 전장 약 60 cm.
      [3]

    •   일본 연안, 동중국해, 대만연안, 인도네시아 연안
      [1]

    •   우리나라 제주, 동해, 남해
      [1]

    •   낚시 대상어종으로 인기가 매우 많으며, 회, 조림, 튀김 등으로 이용된다.
        일부 지역에선 고급상업종으로 취급되어 진다.
      [1]

    •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4].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6].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2. www.fishbase.org

      3. 한반도 생물자원포털 (국립생물자원관, 2012)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22122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222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2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꼬리지느러미가 없는 긴꼬리벵에돔 [Girella leonina (농어목, 황줄깜정이과)]의 출현 We report the first occurrence of a tailless Girella leonina, collected from Jeju Island, Korea, in July 2016. This specimen has 10 scales below the median spinous portion of the dorsal fin, a black posterior margin of the operculum, and no pale vertical band on the body, and is therefore similar to the normal species, except that it has no caudal peduncle or caudal fin. The posterior parts of the dorsal and anal fins are gathered vertically at the posterior end of the body. A radiograph indicates that this abnormal specimen is lacking the vertebrae after vertebra 20. 권혁준,박진순,김혜선,김주희,배한나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4종 돔 추출물의 세포독성 효과 비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고 있는 감성돔(A. schlegeli), 참돔(P. major), 돌돔(O. fasciatus) 및 벵에돔(G. punctata)에 대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영양학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인체 위암세포(AGS)와 인체 결장암세포(HT-29)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4종의 돔 A+M 및 MeOH 추출물들을 AGS 암세포에 처리했을 때 A+M추출물의 경우 첨가농도 5 mg/ml에서 참돔(P. major)과 감성돔(A. schlegeli) 추출물은 80% 이상의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벵에돔(G. punctata)이 70%, 돌돔(O. fasciatus)이 53%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MeOH 추출물의 경우 참돔(P. major)과 돌돔(O. fasciatus) 추출물이 약 80% 이상의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났으며, 이어서 감성돔(A. schlegeli)과 벵에돔(G. punctata) 추출물이 약 70% 정도의 세포독성 효과를 보였다. 4종의 돔의 HT-29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는 AGS 암세포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세포독성 효과는 다소 낮았다. 참돔(P. major), 감성돔(A. schlegeli), 돌돔(O. fasciitis) 및 벵에돔(G. punctata)의 A+M 추출물의 $IC_{50}$ 값은 각각 3.35, 6.16, 6.17 및 4.47 mg/ml이었고 MeOH 추출물의 경우 $IC_{50}$ 값은 각각 3.61, 5.52, 2.07, 및 6.06 m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4종 돔 중에서 참돔(P. major) 추출물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가 상대적으로 높아 참돔(P. major) 추출물을 용매 극성에 따라 분획하여 얻어진 n-hexane, 85% aq. MeOH, n-BuOH 및 water 분획물들에 의한 인체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를 알아 본 결과 85% aq. MeOH 분획물에 의한 AGS 및 HT-29암세포에 대한 $IC_{50}$ 값은 각각 0.33 및 1.58 mg/ml로 나타났다. 따라서 참돔(P. major)의 85% aq. MeOH 분획물은 AGS 및 HT-29 세포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보여 85% aq. MeOH 분획물에 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하여 향후 참돔의 다양한 생리활성 규명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황성연,임선영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90건, 1/3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127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벵에돔
      Girella punctata
      대한민국 2012-11-14
      MABIK PI0001272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벵에돔
      Girella punctata
      대한민국 2012-11-15
      MABIK PI0001311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벵에돔
      Girella punctata
      대한민국 2011-10-10
      MABIK PI0001360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벵에돔
      Girella punctata
      대한민국 2012-09-14
      MABIK PI0001939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벵에돔
      Girella punctata
      대한민국 2011-10-11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