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분홍염주마디풀Gloeophycus koreanus I.K.Lee & S.A.Yoo, 1979
돌가사리목, 실풀가사리과(Gloiosiphonaceae)에 속한다. 엽상체는 직립하며, 매우 짙은 분홍색으로 아름답다. 전체적으로 점액질이 많아 매우 미끌거린다. 소형의 반상근으로 기질에 부착하여 자란다. 직립체의 기부에서 가늘고 짧은 줄기가 있으나 상부로 갈수록 굵어진다. 체장은 2.5-5cm이며, 폭은 1.6mm정도이다. 가지는 7-11회 불규칙 차상 혹은 삼차상으로 분지한다. 주축 세포는 65-90µm x 350-950µm이다. 주심세포는 4개이다. 모상세포들이 최외층 세포에서 많이 형성된다. 이형세대 교번을 한다. 배우체는 직립 사상체이며, 사분포자체는 각상형이다. 사분포자낭은 십자형으로 나누어진다. 배우체는 자웅동주이다. 낭과는 구형 혹은 콩팥형으로 직경이 200-250µm이며, 과포자낭은 직경이 18-20µm이다. 배양시에는 측포자낭이 생기며, 측포자들은 자라서 사분포자체가 되고, 사분포자들은 발아하여 배우체로 자란다. 조하대의 파도가 비교적 적은 곳에서 자란다. 격열비열도를 비롯한 서해안의 조하대에서 자란다. 이종은 우리나라에서 특산속 및 종으로 알려졌으나, 이후에 일본의 아오모리 지방과 북해도 등에서도 보고되어 있다.
파도와 직사광선의 영향이 적은 암반 하부에 서식한다.
[1]
식물체는 밝은 자주색이고 털이 있으며 점액질성이다. 길이는 2.5~5cm이고, 너비는 1.6mm 정도이다. 무한생장지는 차상 또는 삼차상으로 7~11회 가량 분지하며, 파도와 직사광선의 영향이 적은 암반 하부에 서식한다.(국립생물자원관, 2010 편집 인용)
[1]
일본
서해안
출처
[1].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참고문헌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국토해양부 해양국한생물 분자유전체 사업단. 서울, pp. 233.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제주대학교, 제주, pp. 477. Cho, T.O. & Boo, S.M. 1998. Marine flora of Oeyondo Islands on the Yellow Sea, Korea: III. Red algae. Algae 13: 29-67. Lee, I.K. & Yoo, S.A. 1979. Gloeophycus koreanum gen. et sp. nov. (Rhodophyta, Gloiosiphoniaceae) from Korea. Phycologia 18: 347-354. Kaneko, T., Matsuyama, K. & Yamada, I. (1980). On Gloeophycus koreanum I.K. Lee & Yoo (Rhodophyta, Gloiosiphoniaceae) in Hokkaido. Japanese Journal of Phycology 28: 97-104. Notoya, M. (1983). Tetrasporphyte of Gloeophycus koreanum I.K. Lee et Yoo (Rhodophyta). Japanese Journal of Phycology 31: 51-53.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1 | 3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1 | 1 | 2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1 | 1 | 1 | ||
NCBI (Gloeophycus korean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