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불등풀가사리

불등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 (Postels & Ruprecht) J.Agardh, 1851

  • 해양생물평가등급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Gigartinales돌가사리목 > Endocladiaceae풀가사리과 > Gloiopeltis풀가사리속 >
  • 종설명(Description)

    •   돌가사리목 푸가사리과에 속하는 이 식물체의 엽상체는 체장은 5-10cm 크기로 자란다. 미끄러운 가죽질로 직립하고 암적색 또는 적갈색을 띠며, 암반 위에 군락을 이루어 자란다. 원반형의 가근으로 암반에 부착한다. 줄기는 매우 짧고, 단독 또는 총생하고, 짧은 줄기로부터 내부에 비어 있는 상태로 갑작스레 팽배하여 부푼 상태로 가늘고 긴 곤봉 모양의 엽체가 발달한다. 가지는 불규칙하게 차상 혹은 우상으로 분지하고, 가지의 기저 부위는 잘록하고 끝은 뭉툭하거나 뾰족한 모양을 갖는다. 낭과는 구상 혹은 반구상이며, 소지에 산재한다. 사분포자낭은 가지의 전면에 산재한다, 우리나라의 전 연안에서 조하대 상부에 흔히 분포하며. 봄과 여름철에 출현한다.[1]

    •   식물체는 적갈색의 가죽질이며 긴 곤봉 모양이고 체장은 5∼10 cm이며 보통 가지가 없으나 불규칙한 차상분기를 하고, 부분적으로 잘록하여 마디처럼 보이고 끝이 뭉툭하거나 뾰족하다. 줄기는 속이 비어 있어서 물 밖에 노출되면 공기로 채워져서 팽팽하게 보인다. 피층의 맨 바깥쪽 세포는 막대모양이고 그 안쪽에 있는 세포는 구슬모양이며 이들이 길이로 연결되어 짧은 염주모양을 하면서 빽빽하게 들어 차 있는 피층을 형성한다. 낭과는 구상 또는 반구상이며 엽체 표면에 볼록하게 나온다. 배우체에는 체표면에 작은 혹이 생기는데 그 속에 낭과가 형성된다.[2]

    •   조간대 상부의 암반 위에 착생한다.[3]

    •   전해역, 만리포, 채석강[2]

    •   일본, 중국, 미국, 러시아[1]

    •   항박테리아, 항산화, 항콜린 효능이 있음

    • 참고문헌

      [1].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2]. 유용한 남해의 바닷말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제주대학교, 제주, pp. 477.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국토해양부 해양국한생물 분자유전체 사업단. 서울, pp. 233. Hanyuda, T., Yamamura, K., Boo, G.H., Miller, K.A., Vinogradova, K.L. & Kawai, H. 2020. Identification of true Gloiopeltis furcata (Gigartinales, Rhodophyta) and preliminary analysis of its biogeography. Phycological Research. http;/ doi.10.1111/pre.12411. Agardh, J.G. 1851. Species genera et ordines algarum, seu descriptiones succinctae specierum, generum et ordinum, quibus algarum regnum constituitur. Volumen secundum: algas florideas complectens. Part 1. pp. 33-351. Lundae [Lund]: C.W.K. Gleerup. Postels, A. & Ruprecht, F. 1840. Illustrationes algarum in itinere circum orbem jussu imperatoris Nicolai I. Atque auspiciis navarchi Friderici Lütke annis 1826, 1827, 1828 et 1829 celoce Seniavin exsecuto in Oceano pacifico, inprimis septemtrionale ad littora rossica asiatico-americana collectarum. pp. 1-28. Petropoli [St. Petersburg]: Typis Eduardi Pratz. Kurihara et al. 1999. Fisheries Science Fang et al. 2010.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1.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아카데미. 서울. 477 pp.
      2.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국토해양부 해양․극한생물분자유전체 연구단. 233 pp.
      3. Agardh, J. G. 1851. Species genera et ordines algarum, seu descriptiones succinctae specierum, generum et ordinum, quibus algarum regnum constituitur. Volumen secundum: algas florideas complectens. Part 1. pp. [i]-xii, [1]-336 + 337-351 [Addenda and Indices]. Lundae [Lund]: C.W.K. Gleerup.
      4. Harvey, W. H. 1860. Characters of new algae, chiefly from Japan and adjacent regions, collected by Charles Wright in the North Pacific Exploring Expedition under Captain James Rodger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4: 327-335.
      5. Postels, A., F. Ruprecht. 1840. Illustrationes algarum in itinere circum orbem jussu imperatoris Nicolai I. Atque auspiciis navarchi Friderici Lütke annis 1826, 1827, 1828 et 1829 celoce Seniavin exsecuto in Oceano pacifico, inprimis septemtrionale ad littora rossica asiatico-americana collectarum. pp. [i-vi ], [i]- iv, 1-28 [1-2, index], [Latin:] [-iv], [1]-22, [1-2, index], 40 pls.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212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2323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남해안 해남군 무인도서의 하계 해조상 및 군집 한국 남해안 해남군에 위치한 무인도의 해조상과 군집조사가 1999년 6월 12일에서 29일까지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0종, 갈조류 15종 및 흥조류 62종이었다. 우점종은 구멍갈파래와 지충이이며, 준우점종은 바위수염, 패, 톳, 불등풀가사리, 애기돌가사리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에서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 애기가시덤불, 바위수염-참풀가사리, 애기풀가사리, 애기우뭇가사리, 구멍갈파래, 지충이-톳, 뜸부기, 진두발, 미역, 감태가 분포하였다. 오병건,이재완,이해복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류와 군집구조의 월별변화 한국 남해안 가학리의 해조상과 군집구조를 밝히기 위하여 1993년 9월에서 1994년 8월까지 매월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채집 동정된 해조류는 녹조류 11종, 갈조류 15종 및 홍조류 61종이었다 해조상 특성은 출현종을 기준으로 혼합성으로 밝혀졌다. 연중 우점종은 불등풀가사리이며, 준우점종으로는 지충이, 구멍갈파래 및 톳이었다. 수직분포는 조간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불등풀가사리-작은구슬산호말, 바위수염, 참풀가사리 (5월$\~$10월), 미끌풀, 지충이-톳, 구멍갈파래, 애기돌가사리, 참까막살이 분포하였다. 오병건,이재완,이해복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한국 서남해안 신안군 가거도 인근 무인도서의 하계 조간대 해조상 및 수직분포 한국 서남해안 신안군에 위치한 가거도 인근 9개 무인도서의 조간대에 생육하는 해조류를 파악하고자 2012년 7월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녹조류 1종, 갈조류 6종, 홍조류 26종이 출현하여 총 33종이 채집 및 동정되었다. PRIMER 5.0을 이용하여 유사도지수에 따른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성 45%에서 크게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졌다. 가거도 인근 무인도의 조간대 생육하는 해조류의 수직분포를 보면 상부에서는 패(Ishige okamurae), 불등풀가사리(Gloiopeltis furcata), 참풀가사리(Gloiopeltis tenax), 중부에서는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진두발(Chondrus ocellatus), 하부에서는 톳(Sargassum fusiforme), 미역(Undaria pinnatifida), 작은구슬산호말이 우점하여 출현하였다. 류바다,김영식 한국조류학회I 상세보기
        식용해조류중의 미량요소와 특수기능성 당질 -2. 산지와 채취시기별 식이성섬유질 함량의 변화와 해조다당류의 분포- 우리나라 대표적인 식용해조 (녹조류-참흩파래, 청각: 갈조류-미역, 톳, 모자반, 다시마; 홍조류-얼룩도박, 참김, 불등풀가사리) 9종을 대상으로 가용성 식이섬유질, 불용성 식이섬유질 및 총 식이섬유질의 함량을 주요 산지 (기장, 충무, 여수)와 채취 시기별로 측정$\cdot$검토하고, 특히 갈조류와 홍조류에 대하여는 해조 다당류의 분포를 분석 비교하였다. 총 식이섬유질은 녹조류 중의 참흩파래가 $25.4-38.1\%$ (이하 건물중의 비율), 청각은 $35.4-43.8\%$를, 갈조류 중의 미역은 $34.2-48.8\%$, 톳은$37.5-47.8\%$, 모자반은 $42.9-71.3\%$, 다시마는 $37.1-45.1\%$를, 그리고, 홍조류 중의 참김은 $31.3-40.5%$, 얼룩도박은$51.5-60.4\%$, 불등풀가사리는 $57.1-65.8\%$를 각각 함유하였다. 가용성 식이섬유질과 불용성 식이섬유질을 공통적으로 많이 함유한 해조류는 각각 불등풀가사리와 모자반이었다. 총 식이섬유질에 대한 가용성 식이섬유질의 함유 비율은 녹조류 중에서는 참홑파래 $(43.7-64.8\%$ 갈조류 중에서는 미역$(17.5-31.3\%$, 그리고 홍조류 중에서는 불등풀가사리 $(44.7-63.2\%$가 높은 값을 보였다. 해조 다당류의 분포상의 특징을 보면, 갈조류는 알칼리 가용성 알긴산을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9.0-15.1\%)$, 홍조류 중의 참김은 폴피란 $(5.8\%)$을, 그리고 불등풀가사리와 얼룩도박은 한천 $(20.0\%)$과 카라기난 $(23.8\%)$을 각각 많이 함유하는 차이를 보였다. 김두상,이동수,조득문,김형락,변재형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3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항염증 활성을 갖는 불등풀가사리 다당 추출 발효물 및 이의 용도 1020220157598 이주운 원문정보
        복합 해조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활성 조성물 1020180101166 (주)월드코스텍 원문정보
        불등풀가사리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제조방법 1020230046090 임금재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98건, 1/80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0184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등풀가사리
      Gloiopeltis furcata
      대한민국 2011-02-20
      MABIK AL0000184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등풀가사리
      Gloiopeltis furcata
      대한민국 2011-02-20
      MABIK AL0000184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등풀가사리
      Gloiopeltis furcata
      대한민국 2011-02-19
      MABIK AL0000184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등풀가사리
      Gloiopeltis furcata
      대한민국 2010-01-18
      MABIK AL0000184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불등풀가사리
      Gloiopeltis furcata
      대한민국 2011-03-0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