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독도각진왕비장수노벌레Goniopsyllus dokdoensis Cho, W.S. Kim & Lee, 2010
몸은 서양배 모양이며, 등배로 조금 납작하고 길이는 약 820-915 μm 정도이다. 제2~4흉절의 후측판은 뒤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항절은 항문판이 관찰되지 않는다. 삼각형모양의 이마뿔은 잘 발달하였으며 두흉부와 기저부에서 융합되어 있다. 미차는 원통형이며, 길이는 폭보다 조금 길며, 안쪽을 향해 기울어져 있다. 암컷의 제1촉각은 6마디이며, 마지막 마디가 가장 길게 신장되어 있다. 수컷의 제1촉각은 7마디이며, 가늘고 길며,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마디에 관절을 가진다. 제2촉각의 외지는 작은 돌기형태이며, 그 말단에 1개의 길고 휘어진 강모를 가진다. 내지는 2마디이다. 제2소악의 전저절합부(syncoxa)는 1개의 내돌기를 가진다. 턱다리의 전저절합부와 기절은 매우 길게 신장되어 있다. 내지는 짧은 발톱형태로 변형되어 있는데, 그 끝은 기절의 5/6 정도까지 다다를 수 있다. 제1흉지의 전절과 기절은 길게 신장되어 있으며, 기절에는 강모를 가지지 않는다. 외지는 1마디, 내지는 3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제2-4흉지는 이분지형으로 모두 3마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강모식은 다음과 같다(외지/내지): 제2흉지, 1.1.222/1.2.221; 제3흉지, 1.1.323/1.2.321; 제4흉지, 1.1.323/1.2.221. 암컷 제5흉지는 2마디이며, 첫번째 마디의 외측 돌기와 내지엽을 발달되지 않았으며 1개의 매끈한 강모를 가진다. 외지는 폭의 약 1.6배 정도의 길이이며, 5개의 강모와 3개의 분출공을 가진다. 수컷의 제5흉지는 암컷과 유사하지만, 외지의 길이가 폭의 약 1.3배 정도이다.
동해안(독도)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2 | 2 | 2 | 2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3 | 3 | 1 |
NCBI (Goniopsyllus dokdoensi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