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g;wet;wt./m^2$ 으로 몽돌정점의$448.85g;wet;wt./m^2$ 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g/m^2$ )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106.9indivi./m^2$ ,$871.93g/m^2$ 이며, 몽돌정점에서는$64.6indivi./m^2$ ,$984.28g/m^2$ 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김보연,고준철,최한길 한국환경생태학회 상세보기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을 위한 제주 식물 탐색 본 연구에서 최근 한국 제주 지역에서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 맞춤형화장품 소재 개발 일환으로서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육상식물 50종과 해상식물 10종에 대해 주름개선 검증을 위한 콜라겐 생성 효과와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은 피부 노화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험 결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점나도나물추출물( $100{mu}g/mL$ )은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하였으며, 살갈퀴추출물($100{mu}g/mL$ )은 160% 이상, 팔손이추출물($10{mu}g/mL$ ), 금사철추출물($100{mu}g/mL$ ), 기수초추출물($100{mu}g/mL$ ), 보리수나무추출물($100{mu}g/mL$ ), 땅채송화추출물($100{mu}g/mL$ ), 나비나물추출물($100{mu}g/mL$ ), 갓추출물 ($100{mu}g/mL$ )은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해상식물 10종 추출물 중에서는 큰열매모자반추출물($50{mu}g/mL$ )이 190% 이상 콜라겐을 생성하였으며, 붉은뼈까막살추출물($100{mu}g/mL$ ), 누운청각추출물($100{mu}g/mL$ ), 우단청각추출물($100{mu}g/mL$ )의 경우는 140% 이상 콜라겐 생성 효과를 보였다. 제주 육상식물 50종 추출물 중에서 기수초추출물($100{mu}g/mL$ )이 14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으며, 팔손이추출물($20{mu}g/mL$ ), 등나무추출물($100{mu}g/mL$ )은 130% 이상의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나타냈다. 해상식물 10종 추출물 중에서는 자루바다표고추출물($100{mu}g/mL$ )이 가장 효과가 좋았으며, 이 외에도 붉은뼈까막살추출물($100{mu}g/mL$ ), 누운청각추출물($100{mu}g/mL$ ), 우단청각추출물($100{mu}g/mL$ )에서 120% 이상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를 보였다. 이들 콜라겐과 히알루론산 생성 효과가 양호한 제주 자원들은 향후 맞춤형화장품의 피부 고민을 해결하는 데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윤경섭,김미진,김무한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상세보기 Feeding behaviors of a sea urchin, Mesocentrotus nudus, on six common seaweeds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The sea urchin, Mesocentrotus nudus, is widely distributed in North West Pacific regions. It has a substantial impact on macroalgal communities as a generalist herbivore. This study examined various aspects of its feeding ecology, including algal preference, foraging behaviors, and possible effects of past feeding history on its algal preference. We used six common algal species (Ulva australis, Undaria pinnatifida, Sargassum confusum, Dictyopteris divaricata, Grateloupia elliptica, and Grateloupia angusta) from the east coast of Korea as food choice in a series of indoor aquarium experiments. The first choice of starved M. nudus was exclusively U. pinnatifida, followed by G. elliptica and S. confusum. Unlike large urchins, small urchins equally preferred U. pinnatifida and G. elliptica. On the other hand, Undaria-fed urchins preferred to feed only G. elliptica, although its preference slightly differed over time. We then grouped sea urchins into three categories (starved, Undaria-fed, mixed species-fed) to observe 12-days feeding preference as well as early foraging movements. Foraging behaviors of the three groups were distinctively different, although they could not completely reflect the actual consumption. For example, U. australis was highly attractive, but rarely eaten. Undaria-fed urchins seemed to stay with only S. confusum and U. australi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 nudus shows high flexibility in food preference depending on past feeding history and body size. Its foraging behaviors are also affected by past feeding conditions, exhibiting active chemoreceptive movements. Yang, Kwon Mo,Jeon, Byung Hee,Kim, Hyung Geun,Kim, Jeong Ha The Korean Society of Phycology 상세보기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건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Grateloupia angusta 붉은뼈까막살 항산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