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넓은지누아리Grateloupia livida (Harvey) Yamada, 1931
Tang, L., Chen, Y., Jiang, Z., Zhong, S., Chen, W., Zheng, F., & Shi, G. (2017). Purification, partial characterization and bioactivity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om Grateloupia livida. International
선형의 조체, 차상으로 분지하는 가지, 연변에 부출지를 내지 않는 폭넓은 축(1cm 이상)으로 차상으로 분지하는 가지에 의해 다른 한국산 지누아리 종들과 구분된다. [1]
Grateloupia livida에서 다당류를 추출하는 원재료로 사용된다.
- journal of biological macromolecules, 94, 642-652.
조간대의 암반에 착생한다. [1]
근연종인 Grateloupia filicina는 염도 20‰ 및 100μmol photons m−2 s−1에서 관찰된 최대 하루에 13% 성장률로 광범위한 실험 조건에 걸쳐 다양한 정도의 성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Grateloupia filicina 대량 재배 중 성장과 수확량을 극대화하기 위해 염분과 조도를 신중하게 제어해야 함을 시사한다.
-Wong, S. L., & Chang, J. (2000). Salinity and light effects on growth,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Grateloupia filicina (Rhodophyta). Aquaculture, 182(3-4), 387-395.
서해, 남해, 동해, 제주
일본, 대만, 미국, 마다가스카르, 베트남, 중국
참고문헌
[1]. CBD-CHM Korea
[2]. AlgaeBase: https://www.algaebase.org/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2 | 2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3 | 3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2 | 3 | 1 | 3 | 3 |
NCBI (Grateloupia livid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