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바구니이끼벌레Gregarinidra corbula Seo, 1996
군체의 크기는 길이 0.69~0.93mm, 너비 0.16~0.19.mm이다. 군체는 나뭇잎처럼 융기하며 두 겹이고 가지를 친 형태를 한다. 개충은 매우 길고 가는 직사각형이다. 은벽과 나벽은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10~15쌍의 가시가 나 있다. 이들은 충실구개와 조두체 부위를 제외하고는 복벽구의 위쪽으로 구부러져 덮고 있다. 가시의 모양은 삼각형으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말단의 두 쌍의 가시는 길이가 더욱 짧고 약간 기립한다. 나머지 가시들은 앞면의 중심선에서 약간 겹쳐진다. 조두체는 끝이 뾰족한 긴 삼각형으로 비스듬하게 몸에서 먼 방향으로 향한다. 하악의 형태 역시 끝이 뾰족하다. 생태적으로는 어망에 부착하는 오손 태형동물로 알려져 있다.
수심 10~50m 암반지대에서 발견되는데, 여러 개의 엽이 모여 있어서 해조류처럼 보인다.
[1]
군체는 조충뿌리나 부모군체의 한 부분으로부터 마치 나뭇잎처럽 기립하며 2겹이고 가지를 친다. 개충은 길이로 배열하며 매우 길고 가는 직사각형이다. 은벽과 나벽은 없으며 가장자리에는 10~15쌍의 가시가 둘러싸고 있다. 살아있을 때 체색은 연한 베이지 색이다.
[1]
해당없음
제주도
전시표본, 학술연구, 천연물추출 등의 목적으로 채취될 수 있다.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1. Ji Eun Seo. (1996). Two new species of Membraniporoidea (Bryozoa: Cheilostomata) from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12(1), 45-51.
2. (2) 한국의 동식물도감 제40권 동물편(태형동물) (2005) 교육인적자원부, 323pp, Pl. 40. (3) 대한민국생물지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 29권 1호 이끼벌레류, 37pp, 도판 11, 그림 14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2 | 2 | 3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1 | 1 | 3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
NCBI (Gregarinidra corbul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