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살망둑

살망둑Gymnogobius heptacanthus (Hilgendorf, 1879)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i조기강 > Perciformes농어목 > Gobiidae망둑어과 > Gymnogobius꾹저구속 >
  • 종설명(Description)

    •   살망둑은 조기강, 농어목, 망둑어과, 꾹저구속에 속하는 소형 어류로 체장은 6cm에 이른다. 형태적 특징에서 두부와 체측은 약간 측편되어 있고, 체형은 원통형의 긴 막대형이다. 유백색인 두부 복부와 체측 가슴부위를 제외한 두부 및 체측의 체색은 연갈색이다. 하악의 복부에서 시작하여 안경을 지나고 후두정부에 이르는 갈색 대각선 반문이 있다. 아가미 후단부터 미병부의 체측에 안경 크기의 부정형 갈색 반문이 배열되어 있다. 등 쪽 면과 접하는 체측 상단부에 동공 크기의 부정형 갈색 반점이 소성배열되어 있다. 제1등지느러미, 제2등지느러미 및 뒷지느러미에 연갈색 점열형 종대반문이 2-3열 배열되어 있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투명하다. 꼬리지느러미의 전체에 점형형 갈색 횡대반문이 배열되어 있다. 제1등지느러미의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중앙보다 약간 전방 위치에서 시작한다. 제1등지느러미에 사상구조는 없으며, 외연은 둥글다. 생태적 특징에서 산란기 등 자세한 것이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해수 혹은 기수역에서 주로 출현한다고 알려져 있다.

    •   러시아, 중국, 일본 등

    •   제주도, 인천, 경남 거제, 통영, 충남 태안 등

    •   식용가치가 낮은 어류임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남해 앵강만 잘피밭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경남 남해 앵강만 잘피밭에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소형 지인망을 이용하여 월별 어류군집의 특징 및 종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총 6목 22과 35종 3,174개체, 3,137 g이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 베도라치, 그물코쥐치, 날개망둑, 미역치 순으로 채집되었다. 앵강만 잘피밭을 이용하는 어류들은 시기를 달리하여 출현하였으며, 채집된 대부분의 어류는 크기가 작은 유어였다. 우점종의 출현 양상을 고려할 때 유어는 수심이 얕은 잘피밭을 성육장으로 이용하고 성장함에 따라 보다 깊은 수심의 잘피밭으로 서식지를 이동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앵강만 잘피밭에서는 남해안 잘피밭에서 수행된 선행연구들에서는 보고되지 않은 날 매퉁이, 쑤기미, 꼬치고기 그리고 흰점꺼끌복이 채집되었다. 이승환,이용득,신민규,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남해군 삼동면 연안 어류의 월별 종조성 변화 남해 삼동면 연안의 사질과 잘피밭의 어류군집을 비교하기 위해서 2011년 3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소형 beam trawl과 지인망을 이용하여 어류를 매월 채집하였다. 두 곳의 조사지점에서 공통으로 출현한 종은 총 19종이었다.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돌팍망둑, 감성돔, 베도라치,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 복섬 등이 공통으로 출현하였고, 이 중 실고기, 풀해마, 가시망둑, 베도라치, 복섬은 잘피밭에서, 돌팍망둑, 감성돔, 문절망둑, 줄망둑, 날개망둑, 살망둑, 두줄망둑, 문치가자미는 사질연안에서 주로 출현하였다. 실비늘치와 해마, 볼락, 농어, 독가시치는 잘피밭에서만 출현하였고, 풀반지, 숭어, 쑤기미, 양태, 쥐노래미, 알롱횟대, 꼼치, 동갈양태, 댕기망둑은 사질에서만 출현하였다. 채집된 어류 대부분은 소형어나 유어로 남해 연안의 잘피밭과 사질연안이 이들 어류의 성육장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현 종수는 2011년 8~9월에, 개체수는 2011년 8월이 가장 높았다. 생체량은 2011년 4월과 9월에 가장 높았다. 대체적으로 겨울철에는 출현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이 모두 낮았다. 개체수 및 생체량은 사질연안에 비하여 모두 잘피밭에서 높았으며, 사질연안에서는 잘피밭을 선호하는 어류들이 다수 출현하였지만, 잘피밭에서는 사질연안을 선호하는 어종이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김준섭,이용득,이승환,박준수,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경남 통영 한산도 여차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계절 변화 이 연구는 한산도 여차 잘피밭의 어류상 조사를 통해 월간 출현 어종을 알아보고 인근의 봉암 조사 결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지인망을 이용해 수행하였고, 조사 기간 동안 총 29종 2,394개체, 10,378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종은 살망둑이었으며, 다음으로는 복섬, 그물코쥐치, 점망둑, 망상어 순이었고, 이들 6종이 총 개체수의 89%, 생체량의 83%를 차지하였다. 잘피밭에서의 어류 종조성은 계절에 따른 변화가 뚜렷했으며, 개체수는 5월에 증가하기 시작하여 7월에 가장 많았고, 생체량은 4월에 최고값을 나타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월별 개체수와 생체량 변동 및 타 논문과의 비교를 통하여 여차 잘피밭이 어류의 성육장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도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에 대한 주기적인 조사를 통해 남해안 연안 어류상 변화에 대비한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박세웅,김준섭,이용득,곽우석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9건, 1/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3887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2014-08-14
      MABIK PI0003887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2014-08-13
      MABIK PI0003887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2014-08-13
      MABIK PI0003887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2014-08-13
      MABIK PI0003888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살망둑
      Gymnogobius heptacanthus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남부면 2014-08-1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