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별란말미잘Halcurias carlgreni McMurrich, 1901
별란말미잘의 몸체는 원통형 모양 혹은 타원형 형태를 보인다. 구반 가장자리에는 상연깃과 환상홈이 존재한다. 촉수 중 내측이 외측보다 길게 나타나며, 성체일 경우 최대 약 68개, 어린 개체의 경우 약 31~35개 정도이다. 인두 밑의 부분인 대격막에서만 생식선이 발달한다. 인두는 1개의 관구를 갖고, 잘 발달한 16~17개의 수직 능선을 가진다. 나머지 24쌍은 불완전한 소격막으로 존재한다. [2].
체벽은 선명한 주황색이며 중간 부위에 작고 짙은 주황색 점이 있다. 족반과 구부융기는 밝은 노랑색이며, 구반과 촉수는 무채색에 세로 방향의 주황색 줄무늬가 있다. 수심 15~30m 조하대에 암반에 부착하여 서식한다.
동해(울릉도, 독도), 남해(제주도)
일본, 중국
참고문헌
[1]. Hwang S. J. and J. I. Song, 2010. New Records of Endocoelantheainea and Nynantheae (Anthozoa: Zoantharia: Actiniaria)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6(3): 223-232.
[2]. Hwang S. J. and J. I. Song, 2010. New Records of Endocoelantheainea and Nynantheae (Anthozoa: Zoantharia: Actiniaria)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6(3): 223-232.
[3]. Hwang S. J. and J. I. Song, 2010. New Records of Endocoelantheainea and Nynantheae (Anthozoa: Zoantharia: Actiniaria) from Korea. Korean J. Syst. Zool., 26(3): 223-232.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2 | 2 | 3 | 2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3 | 3 | 2 | 2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2 | 3 | 3 |
NCBI (Halcurias carlgren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