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가시왕도박

가시왕도박Halymenia formosa Harvey ex Kützing, 1866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Halymeniales도박목 > Halymeniaceae도박과 > Halymenia도박속 >
  • 종설명(Description)

    •   조간대 혹은 조하대의 암반 위에서 생육한다.
      [1]

    •   조체는 높이 15~35cm로 중륵을 갖지 않는다. 형태는 선형이며 편압 내지 아편압되어 있다. 주축은 너비 1~3cm로, 연변 및 때때로 표면에 다수의 가지를 낸다. 가지는 보통 단순하거나, 때때로 차상으로 분지한다. 부출지는 길이 3~15cm, 너비 1~5mm로 우상으로 배열되고, 위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기부는 잘록하다. 피층은 5~7세포층 두께이며, 이차 원형질연락이 존재한다. 외피층은 2~3세포층이다. 내피층세포는 타원형 내지 다각형이고, 별 모양의 세포를 갖는다. 수층은 사상체가 조밀하거나 느슨하게 횡으로 배열되고, 굴절성 신경절 모양의 세포가 보통 존재한다. 조직은 점착성 내지 점액질이며, 소형의 원반상 부착기로 부착한다. 체색은 암적색 내지 갈색이다.
      [1]

    •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인도양, 태평양

    •   영덕군, 제주시

    • 출처

      [1]. CBD-CHM Korea

    • [2]. CBD-CHM Korea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Arsenic and Nutrient Composition Across Different Edible Seaweeds From Hawaii

        AbstractObjectives

        Seaweed is used for various cultural, culinary, and medicinal purposes in Hawaii and has been consumed for generations around the world (i.e., the Pacific, Asia, and parts of Europe). In the US, seaweed is gaining popularity because of its reputation for being highly nutritional. However, some types of seaweed are known to accumulate heavy metals, including inorganic arsenic (iAs) species. While some seaweed species have been studied, there is still limited species-specific compositional dat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arsenic and nutrient (i.e., macronutrient and mineral) levels in edible seaweeds.

        Methods

        Brown algae (Sargassum aquifolium and Sargassum spp.), red algae (Gracilaria parvispora, Halymenia formosa, and Halymenia hawaiiana, and green algae (Ulva ohnoi) were analyzed using HPLC-ICP-MS for arsenic speciation. Proximate (protein, dietary fiber, ash, moisture, carbohydrate, crude fat, and crude protein) and mineral (P, K, Ca, Mg, Na, Fe, Mn, Zn, Cu, B) analyses were conducted. Values were expressed per freeze-dried weight (FDW) or fresh weight serving (FW) of seaweed.

        Results

        Brown algae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otal and iAs compared to all others.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st macronutrients and minerals existed across seaweed species, with G. parvispora having higher Mn (∼510 μg/g FDW) and K (∼4.6 g/100g FDW) levels compared to all other samples (P < 0.05). Based on recommended nutritional daily values, G. parvispora (∼80 g FW) was high in Mn, H. formosa (∼100 g FW) was high in Fe, U. ohnoi (∼100 g FW) was high in Mg, and H. hawaiiana (∼100 g FW) was high in Mg, Fe, and Zn.

        Conclusions

        Overall, thes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osition across seaweed species. As some seaweeds were excellent sources of essential nutrients while others were high in iAs, it is critical to continually expand compositional data to assess both nutritional adequacy and safety of diets.

        Funding Sources

        USDA-ARS, FDA.

        Kim, Samuel,Conklin, Sean,Redan, Benjamin,Ho, Kacie Oxford University Press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7건, 1/1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2212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왕도박
      Halymenia formosa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2011-06-04
      MABIK AL0002212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왕도박
      Halymenia formosa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2011-06-04
      MABIK AL0002212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왕도박
      Halymenia formosa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2011-06-04
      MABIK AL0002212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왕도박
      Halymenia formosa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2011-06-04
      MABIK AL0002212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왕도박
      Halymenia formosa
      대한민국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2011-06-0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