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바다어리장수노벌레Harpacticella oceanica Itô Tat., 1977
갈고리노벌레목, 장수노벌레과, 어리장수노벌레속에 속하는 요각류의 일종으로 형태적으로 암컷의 몸길이는 약 770μm 정도이다. 전체적인 외형은 유사종과 거의 같다. 미차는 길이보다 폭이 더 넓고, 뒤로 갈수록 서로 밖으로 벌어져 있다. 옆 꼬리강모는 미차 옆 가장자리 중간에 위치하고, 바깥 꼬리강모는 안 꼬리강모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제1촉각은 짧고 뭉툭하며 모두 7마디로 나뉘는데, 끝의 3마디는 모두 매우 작다. 제2촉각의 외지는 2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제1흉지는 뚜렷한 붙잡이형으로, 내·외지 모두 끝에 가동성의 발톱을 갖고 있는데, 외지는 내지보다 훨씬 더 길다. 수컷의 몸길이는 560μm이며 몸의 구조는 암컷과 유사하다. 생태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담수의 영향이 크게 미치는 조간대 웅덩이나 해안 습지, 또는 제주 해안의 용천수 주변에서 발견된다.
일본
충남 보령, 제주도, 부산 기장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3 | 3 | 3 | 3 | 3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3 | 2 | 2 | 3 | 2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3 | 3 | 3 | 3 | 2 |
NCBI (Harpacticella oceanic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