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갈게

갈게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Brachyura게하목 > Varunidae참게과 > Helice방게속 > Helice tientsinensis갈게 >
  • 종설명(Description)

    •   최대 갑각 너비 32 mm, 길이 27 mm 이상으로 한국산 방게류 5종 중에서 가장 큰 종이고, 다른 종들에 비해 몸 전체에 털이 적어 비교적 매끈하게 보인다. 갑각 윤곽은 둥그스름한 사각형, 이마는 짧은 혀 모양이며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었고 이마 앞가장자리는 등면에 넓고 깊은 세로홈으로 오목하게 패여있다. 갑각 앞옆가장자리에는 3개의 크고 넓적한 이가 있다. 눈아랫두둑의 과립 수는 5종 중에서 가장 많아 수컷에서는 43개 내외, 암컷은 30개 내외이다. 수컷의 과립 중에서 눈자루 밑에 위치한 중앙 과립 5~6개는 세로로 길쭉해지며 앞으로 뚜렷하게 튀어나와있다. 이들 중앙과립의 바깥쪽의 23~27개 내외의 과립들은 구분이 뚜렷하고 바깥쪽 끝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안쪽의 15개 내외의 과립은 더욱 작고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편이며 안쪽 끝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암컷의 경우 중앙의 과립이 모양이 다른 과립들과 다를 것 없으나 그 크기가 약간 큰 정도이다. 수컷의 제6배마디는 방게와 비슷하게 양 옆가장자리가 안쪽으로 많이 꺾인 모양이다. 제1걷는다리의 발목마디 끝부분과 앞마디의 앞면에만 매우 짧고 연한 털이 뺵빽히 나 있을 뿐, 다른 걷는다리들은 매끈한 것으로 다른 방게류 종과 잘 구분된다.
        강하구 및 기수역의 상조선 근처 진흙 바닥에 구멍을 파고 살며 잡식석이다. 다른 방게류 종 처럼 간척지의 두둑이나 염전의 두둑에 구멍을 파서 피해를 주기도 한다.
      [1]

    •   한국, 중국(황해 연안)
      [1]

    •   우리나라 서해, 남해, 포항 이남 동해 연안
      [1]

    •   같은 방게류의 다른 종, 털다발풀게, 풀게, 칠게 등과 같이 갯벌에서 잡히는 비교적 작은 게로 튀김, 장아찌, 조림, 볶음, 등으로 반찬이나 탕으로 요리해 먹는다. 갯벌이 있는 지역 시장에서 연중 시장에 나오지만 특히 봄에 많이 나온다.
      [1]

    •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 [2].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 참고문헌

      1. Rathbun M.J. (1931). New and rare Chinese crabs. Lingnan Science Journal. 8: 75-125, p.pls. 5-15.

      2. 김원; 김훈수. (2001). 유용게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52-154.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DNA Barcoding of the Marine Proteced Species Pseudohelice subquadrata (Decapoda, Varunidae, Pseudohelice) from the Korean Waters Pseudohelice subquadrata (Dana, 1851) is endangered due to its restricted habitat; hence, it has been designated as a marine protected species and endangered species by law in Korea. It has been recorded only Jeju-do and Geomundo, Republic of Korea.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report on 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DNA barcode for P. subquadrata. The maximum intra-specific genetic distance among all P. subquadrata individuals was found to be 0.5%, whereas inter-genetic distance within the same genus was 17.2-21.5% compared with Helice tientsinensis (Rathbun, 1931), H. tridens (De Haan, 1835), H. epicure (Ng et al., 2018), and Helicana wuana (Rathbun, 1931).Our barcoding data can thus be used as reference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studies on P. subquadrata, which are designated as marine protected species. 김지민,김종관,김소연,최우용,김형섭,김민섭 한국동물분류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37건, 1/4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0973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갈게
      Helice tientsinensis
      대한민국 2011-11-24
      MABIK CR0009731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갈게
      Helice tientsinensis
      대한민국 2011-11-24
      MABIK CR0009731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갈게
      Helice tientsinensis
      대한민국 2011-11-24
      MABIK CR0009731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갈게
      Helice tientsinensis
      대한민국 2011-11-24
      MABIK CR0009731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갈게
      Helice tientsinensis
      대한민국 2011-11-2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