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방게

방게Helice tridens (De Haan, 1835)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rthropoda절지동물문 > Malacostraca연갑강 > Decapoda십각목 > Pleocyemata범배아목 > Brachyura게하목 > Varunidae참게과 > Helice방게속 > Helice tridens방게 >
  • 종설명(Description)

    •   최대 갑각 너비 30 mm, 길이 25 mm 내외로 한국산 방게류 5종 중에서 갈게 다음, 두 번째로 큰 종이다. 갑각 윤곽은 둥그스름한 사각형, 이마는 짧은 혀 모양이며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었고 이마 앞가장자리는 등면에 넓고 깊은 세로홈으로 오목하게 패여있다. 갑각 앞옆가장자리에는 3개의 크고 넓적한 이가 있다. 눈아래두둑의 과립수 수는 수컷에서는 10~19개의 사각형에 가까운 큼직한 과립들이 줄지어 배열되어 있고, 암컷에서는 보다 작은 20개 내외의 과립들이 줄지어 있다. 수컷의 제6배마디는 길쭉하며, 양 가장자리는 평행으로 달리다가 중간에서 안쪽으로 크게 각이 지게 꺾인 모양이다. 제1,2 걷는다리의 발목마디 끝과 앞마디의 앞면에 짧은 털이 촘촘히 나있다. 몸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청록색이고 집게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노란빛을 띤다.
        강하구 및 기수역의 상조선 근처 진흙 바닥에 구멍을 파고 살며 잡식석이다. 다른 방게류 종 처럼 간척지의 두둑이나 염전의 두둑에 구멍을 파서 피해를 주기도 한다. 5~7월에 알을 품는다.
      [1]

    •   갑각의 윤곽은 가로로 긴 사각형이다. 옆가장자리는 앞부분에 끝이 뾰족한 3개의 이가 뚜렷하다. 양 집게다리는 대칭을 이루고 손바닥은 넓으며 안팎 양면으로 약간 볼록하다. 제1, 2걷는다리의 발목마디 끝과 앞마디의 앞면에 짧은 털이 촘촘히 나 있다.(Kim, 1973 편집 인용)
      [2]

    •   한국, 일본, 중국(황해 연안), 타이완
      [1]

    •   경북, 경남, 전남, 제주, 전북, 충남, 경기
      [3]

    •   같은 방게류의 다른 종, 털다발풀게, 풀게, 칠게 등과 같이 갯벌에서 잡히는 비교적 작은 게로 튀김, 장아찌, 조림, 볶음, 등으로 반찬이나 탕으로 요리해 먹는다. 강화도에서는 간장에 졸여서 반찬으로 만들어 먹으며, 강원도에서는 간장 달인 몰에 통째로 절여서 장아찌를 담궈 먹는다. 제주도에서는 해감한 방게를 절구에 넣고 잘게 빻고, 물을 붓고 체에 걸러 잘게 부순 겟국물을 사용해 끓인 죽은 깅이죽, 또는 갱이죽을 만들어 먹는다. 갯벌이 있는 지역 시장에서 연중 시장에 나오지만 특히 봄에 많이 나온다.
      [1]

    •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3].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 [4].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5].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Ⅰ(2019년)

      [6]. 우리바다 우리생물 -서천

    • 참고문헌

      1. De Haan, W. (1835). Crustacea. Fauna Japonica, sive Descriptio animalium, quae in itinere per Japoniam, jussu et auspiciis superiorum, qui summum in India Batava imperium tenent, suscepto, annis 1823-1830 collegit, notis, observationibus et adumbrationibus illustravit PF de Siebold. Conjunctis studiis CJ Temminck et H. Schlegel pro Vertebratis atque W. de Haan pro Invertebratis elaborata Regis aupicus edita. In P. F. von Siebold. Leiden, Lugundi-Batavorum. Decas II: 25–64, pls. 9–15, 17, C, D.


      2. Milne Edwards, H. (1837). Histoire naturelle des crustacés. Vol. 2. Paris: Librairie Encyclopedique de Roret. 1-531.

      3. 김원, 김훈수. (2001). 유용게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152-154.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01건, 1/2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CR0020908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방게
      Helice tridens
      대한민국 2012-10-13
      MABIK CR0020908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방게
      Helice tridens
      대한민국 2012-10-15
      MABIK CR0020908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방게
      Helice tridens
      대한민국 2012-10-15
      MABIK CR0020909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방게
      Helice tridens
      대한민국 2012-10-15
      MABIK CR0023953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방게
      Helice tridens
      대한민국 2016-07-1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