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보라성게

보라성게Heliocidaris crassispina (A. Agassiz, 1863)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Echinodermata극피동물문 > Echinoidea성게강 > Camarodonta공치성게목 > Echinometridae만두성게과 > Heliocidaris보라성게속 >
  • 종설명(Description)

    •   각은 중형이며 때로는 대형이고, 단단하며 반구 모양이다. 구부 쪽은 약간 편평하나 위구부를 향하여 오목해 있지 않다. 보대의 폭은 간보대의 폭의 약 3/4에 달한다. 보대판은 다공판형으로 유공부에는 5~9쌍의 보대공이 경사져서 굽어져 있으며, 그 폭이 반구부 쪽에서는 무공부의 약 2배를 차지하고 있다. 유공부는 구부 쪽을 향하여 더욱 넓어져서 보대를 이루고 있으므로 위구부 가까이에서는 보대의 폭은 간보대 폭의 2배 이상이다. 큰 혹은 크고 간보대와 보대의 무공부에서 규칙적으로 2열로 세로로 배열해있다. 보대에 있는 큰 혹은 간보대에 있는 큰 혹의 크기의 약 2/3 이하에 달하며, 중간 혹은 작고, 작은 혹은 매우 많다. 구부 쪽에서는 혹의 크기가 매우 작아 불분명하다. 간보대에서는 큰 혹은 크고, 중간 혹도 크며 수가 많고, 중앙 부위와 양쪽으로 중간 혹이 세로로 열을 지어 있다. 중앙 부위에 있는 중간 혹은 약간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해 있다. [2]

    •   이 종은 우리나라 온대 해역에 서식하는 종으로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70 m 이내의 경성저질(암반) 주로 서식하고 있다.

    •   대한해협, 제주, 울릉도

    •   일본, 대만, 홍콩, 중국 동남부

    • 참고문헌

      [1]. Rho, B.J. and H.S. Kim, 1966. Studies on the Echinodermata (Echinoidea, Asteroidea and Ophiuroidea) from Korea. Collect. Thes. Writ. Commen. Dr. Emma Kim’s Forty Years Teac. Ewha Womans Univ., Seoul, Korea, pp. 273-293.
      [2]. Shin S, 2011.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32, No. 2: Sea Urchins (Echinodermata: Echinozoa: Echinoid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1-122.
      [3]. Shin S, 2011. Invertebrate Fauna of Korea Vol.32, No. 2: Sea Urchins (Echinodermata: Echinozoa: Echinoid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1-12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COI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통영연안에 서식하는 보라성게(Anthocidaris crassispina)와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위 내용물과 서식지 해조군락 The seaweed community and stomach contents of the dominant herbivorous sea urchins Anthocidaris crassispina and Hemicentrotus pulcherrimus were examined from November 2008 to October 2009, in coastal areas of Tongyeong, Korea. Thirty-five seaweeds including two green, nine brown, and 24 red algae, were found over the study period. Seventeen seaweeds (two green, two brown, and 13 red) and two invertebrates were found in the stomachs of A. crassispina. In H. pulcherrimus, stomach contents were two green, one brown, 11 red seaweeds, and two invertebrates. The shell diameter of A. crassispina and H. pulcherrimus ranged from 22.3 to 62.3 mm and 15.3 to 40.1 mm, respectively. Total body weights ranged from 48.5 to 86.7 g for A. crassispina and from 7.7 to 25.9 g for H. pulcherrimus. The total weight of stomach contents were 5.1 to 25.8 g in A. crassispina and 1.7 to 11.8 g in H. pulcherrimus. The range of gonad weight was 3.6 to 17.0 g in A. crassispina and 0.8 to 4.0 g in H. pulcherrimus. The gonad index (GI) for A. crassispina peaked in July and reached a minimum in December, whereas the GI for H. pulcherrimus was highest in February, and lowest in May. 김남길,장재길 한국수산과학회 상세보기
        한국 제주 연안의 암반 형태 차이와 저서생물 군집구조 제주 연안 저서생물(해조류,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가 저서 기질 형태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신흥해역에서 2015년 2월부터 11월까지 매월 조사되었다. 암반정점에서는 해조류 57종과 무척추동물 102종이 출현하였고, 몽돌정점에서는 해조류 42종과 무척추동물 67종이 관찰되어 암반기질에서 저서생물의 출현종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의 연평균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1,601.13g;wet;wt./m^2$으로 몽돌정점의 $448.85g;wet;wt./m^2$보다 약 4배 높았다. 감태는 암반정점에서 전체 생물량의 62.64% ($1,002.93g/m^2$)를 차지하는 우점종이었고, 몽돌정점에서는 넓은게발, 감태, 붉은뼈까막살, 자루바다표고, 갈래곰보가 우점하였다. 저서무척추동물의 개체수 및 생물량은 암반정점에서 각각 $106.9indivi./m^2$, $871.93g/m^2$이며, 몽돌정점에서는 $64.6indivi./m^2$, $984.28g/m^2$로 나타났다. 무척추동물의 생물량 우점종을 파악한 결과, 암반정점에서는 소라(36.40%), 바퀴고둥(19.18%), 보라성게(13.61%)였고, 몽돌정점에서는 거품돌산호(54.13%)와 그물코돌산호(24.28%)로 기질에 따른 우점종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김보연,고준철,최한길 한국환경생태학회 상세보기
        동해 연안에 서식하는 성게의 형태변이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분석 성게의 형태학적 분류는 그것의 형질적 변이에 의하여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말똥성게, 둥근성게, 보라성게, 분홍성게와 동해안에서 포획된 미확인 성게 4종의 형태형질 비교와 계통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성게의 생식소로부터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 방법을 통하여 mitochondrial 12S rD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둥근성게과의 말똥성게, 둥근성게, 만두성게과의 보라성게, 주발성게과의 분홍성게의 mitochondrial 12S rDNA의 염기서열은 미확인 성게종들의 그것과 85.9-93.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미확인 성게종들은 새치성게의 mitochondrial 12S rDNA의 일부 염기서열과 99.8%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각 개체의 mitochondrial 12S rDNA를 통한 분자계통수 분석에 의해서 미확인 성게들은 새치성게의 형태적 변이로 판단된다. 신지혜,김성규,김영대,손영창 한국양식학회 상세보기
        제주도 연안 마을어장의 저서무척추동물 군집구조 제주연안 8개 마을어장 주변해역에서 2008년 9월부터 10월까지 저서 무척추동물의 군집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총 166종의 저서동물이 채집되었고, 연체동물이 77종 (46.4%) 이였으며, 이 중 복족류가 25.3%로 가장 우점하였고, 절지동물 24종 (14.5%), 자포동물 18종 (10.8%), 해면동물 16종 (9.2%) 및 기타 동물은 33종 (17.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개체밀도와 생체량은 각각 6,905 개체/$m^2$, 113,100.7 gwwt/$m^2$로 연체동물 중 복족류가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우점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팽이고둥 (Omphalius pfeifferi), 바퀴고둥 (Astralium haematragum), 소라 (Turbo cornutus), 탑뿔고둥 (Ergalatax contraacta), 애기돌맛조개 (Lithophaga cura), 보라성게 (Anthocidaris crassispina), 분홍멍게 (Herdmania monus) 로 주로 복족류와 해초류에서 높은 우점율을 나타냈다. 군집유사도의 집괴분석을 실시한 결과 크게 북부와 남부해역 및 서부해역의 2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정점별 종다양도 (H'), 균등도 (E') 및 풍부도 (R) 지수의 범위는 각각 1.59-2.95, 0.38-0.87, 3.3-10.4 로 종다양성 및 개체수 균일성이 가장 안정된 지역은 남부인 대포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북부에 위치한 월정에서 낮게 나타났다. 고준철,구준호,이승종,장대수,조성환 한국패류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보라성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 또는 면역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102015008289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원문정보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Heliocidaris crassispina 보라성게 제주특별자치도 식용 성게의 생식선은생으로 많이 먹으며, 미역과 함께 국을 끓여먹거나, 젓을 담가 먹는다.
        소화에 도움이 되며, 기력회복에 좋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10건, 1/6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IV000002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
      대한민국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2011-05-24
      MABIK IV0000027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7-14
      MABIK IV0000028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
      대한민국 남해 2011-08-21
      MABIK IV0000028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남구 2011-04-29
      MABIK IV0000037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보라성게
      Heliocidaris crassispin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1-09-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