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누치

누치Hemibarbus labeo (Pallas, 1776)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Cypriniformes잉어목 > Cyprinidae잉어과 > Hemibarbus누치속 >
  • 종설명(Description)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어도를 통과하는 어류의 형태 체형비 평가 본 연구에서 국내 어류 분류군별 체형비(Fineness Ratios; FR)를 분석한 결과 일부 잉어과와 납자루아과, 꺽지과, 검정우럭과 등의 어류 체형비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그 외 분류군별 어류의 체형비는 4.5 이상으로 대부분 유영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유영성 어류를 대상으로 체장-체고비에 따른 서식지 선호를 분석한 결과 크게 3가지 어종타입은 구분되었다. 유영력이 낮은 납자루-붕어형은 체형비는 2.1~3.3 범위이며, 유선형의 비율을 가지는 피라미-참갈겨니형은 체형비가 3.7~5.2 범위였다. 은어-누치형은 체장이 체고의 5배 이상으로 유영력이 뛰어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어류 체형비에 따른 서식지 유형을 구분하면 붕어-납자루형은 흐름이 완만한 소(Pool habitat)형태의 서식지를 선호하는 어종 우세하였고, 반면 피라미-참갈겨니형, 은어-누치형의 경우 유속이 빠른 여울형서식지(Riffle habitat)를 선호하는 어종들로 구성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어도를 이용한 어류의 상대풍부도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어종들이 피라미-참갈겨니, 은어-누치형에 속하는 유영성이 높은 어류들로 확인되었다. 어도 내 유속이 0.5~1.0 m s-1 범위에서 이용 어종의 FRs는 4.5~5.0 범위로 나타나 대부분 유영성 어종들이 어도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운기,배대열,김도현,신현범,서정빈,임경훈,이의행,유재상,안광국,김재구 한국환경생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4건, 1/3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3058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누치
      Hemibarbus labeo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2013-10-18
      MABIK PI0003058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누치
      Hemibarbus labeo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2013-10-18
      MABIK PI0003058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누치
      Hemibarbus labeo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2013-10-18
      MABIK PI0003071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누치
      Hemibarbus labeo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2013-10-18
      MABIK PI0003072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누치
      Hemibarbus labeo
      대한민국 충청남도 부여군 양화면 2013-10-18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