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삼세기

삼세기Hemitripterus villosus (Pallas, 1814)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i조기강 > Scorpaeniformes쏨뱅이목 > Hemitripteridae삼세기과 > Hemitripterus삼세기속 >
  • 종설명(Description)

    •   머리는 납작한 편이며, 몸의 앞부분은 원통형이고 뒤쪽으로 갈수록 측편된다. 머리의 눈 뒤와 등지느러미 사이에 깊은 홈이 있다. 눈 뒤쪽으로 2개의 극이 있다. 머리 위에 울퉁불퉁한 돌기들이 많이 있고 턱과 머리, 뺨, 몸에 끝이 갈라진 나뭇잎 모양의 피판이 많이 있다. 체표면은 작은 가시와 피질돌기로 덮여 있다. 몸은 연갈색 바탕에 진한 갈색의 얼룩무늬가 있고(붉은색, 흑갈색, 회갈색 등 체색변이가 있다), 배쪽은 연한 녹갈색을 띤다. 대체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 서식하는 저서성 어류로, 11~3월 무렵이 되면 연안의 얕은 수역으로 이동하여 바위나 돌, 홍합 껍데기, 갯지렁이의 석회관 등의 기질에 점착성 알을 낳는다. 육식성 어류로 치어기에도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어류나 새우류를 포식한다.
      [1]

    •   수심 10∼100m의 모래 또는 개펄 바닥에 서식하고, 갑각류나 어류를 먹으며 자기보다 큰 어류도 먹는다. 산란기는 늦은 가을에서 겨울 사이이다.
      [2]

    •   몸의 앞부분은 크고 원통형이다. 머리의 눈 뒤와 등지느러미 앞 사이에 깊은 홈이 있고, 홈 앞쪽의 위턱 위에는 혹 모양의 큰 골질돌기가 있다. 머리 위에 돌기들이 많이 있고, 턱과 머리, 뺨 그리고 몸에 끝이 갈라진 나뭇잎 모양의 피판이 많이 있다. 피부는 작은 가시와 피질돌기로 덮여 있어서 거칠다. 또, 제4기조 뒤에 있는 기조는 지느러미막이 없이 분리되었다. 몸은 연한 갈색 바탕에 진한 갈색의 얼룩무늬가 있고, 배쪽은 연한 녹갈색을 띤다. 전장 약 35cm.
      [2]

    •   일본 중부, 오호츠크해, 베링해
      [1]

    •   우리나라 전 연안
      [1]

    •   식용 어종으로 예부터 강릉, 속초에서 삼세기탕을 즐겨 먹었으며, 지금은 강원도의 전통향토음식으로 꼽히고 있다. 서해 백령도, 소청도 인근에서는 삼세기 알, 늙은 호박, 산초열매를 넣은 호박짠지, 알젓이 향토음식으로 알려져 있다.
      [1]

    •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3].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4].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참고문헌

      1.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2. 한국어류대도감 (김 등, 2005)
      3. www.fishbase.org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33333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33333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3333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동해안 저서어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및 중금속의 계절적 변화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에 서식하는 대표적 저서어인 곰치와 풍덕구이의 영양성분 및 중금속 함량의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였다. 이 두 어종의 지방 함량은 0.3% 이하로 연중 내내 매우 낮은 특성을 나타내어 계절적 변동을 관찰하기 어려웠으나, 산란기를 전후하여 수분이 증가되고 단백질이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수집 시기에 관계없이 1% 가량의 비교적 일정한 회분 함량을 나타내었던 두 어종은, 무기질 조성에 있어서는 연중 내내 칼륨(K), 나트륨(Na), 인(P)의 분포량이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어류의 전형적인 무기질 패턴을 나타내었다. 한편, 두 어종은 중금속 함량에 있어, 수은(Hg), 카드뮴(Cd), 주석(Sn)은 식품공전이 정한 규격을 충족시켰으나, 일부 시료에서 납(Pb)이 규격치 이상 검출됨에 따라, 두 어종에서 Pb 성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아미노산 분석 결과, 1년에 걸쳐 수집된 곰치와 풍덕구이 두 어종 모두에서 가장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곰치의 경우에는, 수분의 함량이 적고 단백질의 함량이 높았던 여름철에 총 아미노산과 단맛 및 감칠맛을 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계절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풍덕구이는 단백질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곰치보다 높았으나, 어류의 풍미를 부여하는 유리아미노산의 함량 곰치보다 현저히 낮은 특성을 나타내었다. 곰치와 풍덕구이두 어종 모두 10-1월 사이에, PUFA는 급격히 증가하고, SFA는 감소하여, 다른 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P/S를 나타냄에 따라, 지방과 달리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계절적 특성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종, 계절, 수집 지역의 지리적 조건에 의해 그 화학적 조성이 영향을 받게 되는 어류를 식품 소재화할 경우, 특정 지역에서 수집된 어류의 식품영양적 가치 평가는 개별 어류에 대해 연중 모니터링이 되어야 정확한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병용,서정희 한국식품과학회 상세보기
        여수 연안산 삼세기(Hemitripterus villosus) 자치어의 골격발달 삼세기(Hemitripterus villosus)는 새로운 양식 어종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자원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양식 어종에서 지속적인 문제로 나타나는 골격 기형에 대해 삼세기의 정상적인 골격발달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어획된 어미로부터 채란된 수정란을 부화시킨 자치어를 포르말린액에 고정한 뒤 Kawamura and Hosoya (1991) 염색법에 따라 염색하여 골격발달을 관찰하였다. 부화 직후 평균전장 13.65±0.71 mm (n=5) 일 때 부설골과 주상악골, 전상악골, 치골이 골화되기 시작하였고, 부화 후 65일째 평균전장 21.24±0.50 mm (n=5) 일 때 사골과 안상골이 골화하면서 두부가 완성되었다. 견대부는 부화 7일째 평균전장 14.61±0.52 mm (n=5) 일 때 쇄골, 주새개골, 관절골이 골화하기 시작하였으며, 부화 44일째 평균전장 18.15±0.61 mm (n=5) 일 때, 4개의 사출골이 골화되어 견대부가 완성되었다. 부화 10일째 평균 전장 14.80±0.65 mm (n=5) 일 때 척추골의 골화가 시작되었으며, 부화 후 54일째 평균전장 18.67±0.54 mm (n=5) 일 때 척추골 추체 39개가 골화하여, 부화 60일째 평균전장 20.25±0.45 mm (n=5) 일 때 척추골의 골격이 완성되었다. 이 연구는 삼세기 자치어의 골격발달에 대한 것으로 삼세기의 자치어 골격 기형의 기준과 기초자료 연구에 사용될 것이다. 전나영,박애전,이성훈,유태식,한경호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의 산란생태, 난발생 및 자치어의 형태발달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spawning ecology and early morphological development of Hemitripterus villosus. The natural spawning ground consisted of bedrock and pebbles was the intertidal coast at Taean (Chungnam) and its depth was about 5~10 m. Spawning period was mainly from the end of October to December, when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6.0{\sim}15.8^{\circ}C$ and mean 32.0‰, respectively. There were no difference of the body shape and color between female and male of Hemitripterus villosus, however its reproductive organs showed clear differences. The male had tube shaped genital papilla, which was connected with testis, and the female had seminal recepacle, which was the lower part of oviduct connected with ovary. Genital papilla of male came out of its body at spawning period and then male copulated. After copulation, female stored the sperm in its seminal recepacle and fertilized when it spawned. Fertilized eggs were reached 8 cells stage after fertilization at rearing water temperature $8.2{\sim}14.9^{\circ}C$. At 29 hours after fertilization, it reached morula stage, and at 146 hours after fertilization, its embryo was clearly formated. Hatching was begun from 1,488 hours (62 days) after fertilization with $8.2{\sim}14.9^{\circ}C$ water temperature.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12.99~15.46mm(mean $14.16{\pm}0.65$ mm) in TL (Total Length), and its mouth and anus were open. At 7 days after hatching, its yolk sac was completely absorbed and the myotomes were 15+25=40, measuring 15.23~15.54mm(mean $15.39{\pm}0.22$ mm, n=5) in TL. At 75~80 days after hatching, it was measured mean $30.06{\pm}0.76$ mm in TL, and it had reached the juvenile stage with the complete set of fin rays. 박애전,한경호,이성훈,김희진,김승용,임인현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삼세기(Shaggy sea raven, Hemitripterus villosus)의 carbonic anhydrase III에 관한 연구 본 논문에서는 삼세기(Shaggy sea raven, Hemitripterus villosus)를 실험 재료로 선택하여 Carbonic Anhydrase Isozymes (CAs) 중의 하나인 CA III에 대한 연구를 SDS-PAGE, Isoelectric Focusing (IEF), Western blot analysis의 방법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SDS-PAGE와 Western blot 결과 삼세기 아가미, 혈액, 장, 간, 신당, 근육, 심장조직에서 CA III의 분자량인 30 kDa의 band가 확인되었다. 삼세기의 근육과 아가미에 대한 등전점 전기영동(IEF)과 Western blot analysis 결과 pI 7.0 부근에서 band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SDS-PAGE와 IEF 실험결과 삼세기의 아가미 조직에서 CA III의 발현량이 다른 조직들에 비하여 우세하게 나타났다. 이는 아가미가 다른 조직들과 달리 어류의 생체기관 중 유일하게 외부와 직접 접촉이 가능한 조직으로서 활성산소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사료된다. 권록은,고강희 한국생명과학회 상세보기
      • 전통지식

        검색결과 1

        전통지식 목록 - 학명, 국명, 지역, 주용도, 구전 전통지식
        학명국명지역주용도구전 전통지식
        Hemitripterus villosus 삼세기 강원도 식용 바다에서 삼시기(삼세기)를 잡아 회로 먹거나 매운탕을 끓여 먹는다.
        계절과 관계없이 잡히지만 주로 10~12월에 잡고, 껍질을 벗겨 내고 썰어서 알과 함께 국을 끓여 먹는다.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92건, 1/7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08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
      대한민국 2011-05-30
      MABIK PI0000009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
      대한민국 2011-05-30
      MABIK PI0000014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
      대한민국 2011-05-09
      MABIK PI0000021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
      대한민국 2011-04-26
      MABIK PI000002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삼세기
      Hemitripterus villosus
      대한민국 2011-04-2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