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미끈애기불가사리Henricia leviuscula (Stimpson, 1857)
반은 작고, 완은 5개가 있으며 가늘고 길다. 배판은 두텁고 볼록하며, 둥글거나 타원 모양, 때로는 콩팥 모양 또는 거의 사각 모양으로 서로 겹쳐서 있으며, 40~60개의 끝이 과립과 같이, 둥근 미세한 작은 가시가 빽빽하게 있다. 피새부는 매우 작으며, 깊고 보통 1개 또는 때로는 2개 또는 3개의 피새를 갖는다. 능판은 가로로 배열해 있는 복측판보다 약간 더 크다. 천공판은 작고 둥글며, 배판과 같은 작은 가시로 덮여 있고, 반의 중앙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몸은 살아있을 때 밝은 갈색이고, 완에는 진한 밤색의 띠가 7~9개가 있다.
[1]
수심 10-30m 전후의 암반 조하대에서 서식함.
[2]
반은 작고 완은 5개가 있으며 가늘고 길다. 배판은 두텁고 볼록하며, 둥글거나 타원 모양 때로는 콩팥 모양 또는 사각 모양으로 서로 겹쳐서 있으며 미세한 작은 가시가 빽빽하게 있다. 천공판은 반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체색은 살아 있을 때 밝은 갈색 또는 진한 밤색을 띤다.
[3]
일본(무쓰만), 북태평양(알류산열도-알래스카-몬테레이만)
[1]
강원, 경북, 경남
[1]
출처
[1].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우리바다 해양무척추동물 인벤토리(2017년)
[6].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참고문헌
- 한국의 무척추동물 제32권1호 불가사리류. 신숙, 2010
| 경제적가치 |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 1 | 2 | |||
| 생태적가치 |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 1 | 2 | 2 | ||
| 학술적가치 |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 2 | 2 | 2 | ||
NCBI (Henricia leviuscul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