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진분홍딱지

진분홍딱지Hildenbrandia rubra (Sommerfelt) Meneghini, 184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Hildenbrandiales분홍딱지목 > Hildenbrandiaceae분홍딱지과 > Hildenbrandia분홍딱지속 >
  • 종설명(Description)

    •   바다에 사는 홍조식물이다. 엽체는 적갈색, 각상형, 암반에 얇은 막으로 밀착한다. 불규칙한 외형선이 있으며, 두께 0.5mm, 딱지 모양으로 부착하고, 표면은 미끌미끌하다. 단면에서 작은 구슬 모양 세포가 일렬로 배열한다. 조간대 암반에서 연중 출현한다. 동해안, 남해안, 제주도에 생육하며, 세계적으로 대서양과 북태평양에 분포한다.

    •   전 계절에 생육

    •   엽체는 적갈색, 각상형, 암반에 얇은 막으로 밀착하며, 불규칙한 외형선, 두께 0.5mm, 딱지 모양으로 부착하고, 표면은 미끌미끌하고, 단면에서 작은 구슬 모양 세포가 일렬로 배열한다.

    •   조간대 암반

    •   대서양, 북태평양

    •   동해안, 남해안, 제주도

    •   특별한 용도가 알려진 바 없음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 동해안 중부의 저서 해조류 군집 우리나라 동해안 중부의 축산항 지역에서 2007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 계절별로 조간대와 조하대 해조류의 종조성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2년에 걸친 조사를 통해 밝혀진 해조류는 총 98종(녹조류 13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2종)이었고, 조사시기별로는 33~63종의 범위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녹조류 2종(구멍갈파래, 떡청각), 갈조류 3종(참그물바탕말, 톳, 왜모자반), 그리고 홍조류 11종(작은구슬산호말, 혹돌잎, 참도박, 참지누아리, 붉은까막살, 진분홍딱지, 진두발, 잔금분홍잎, 개서실, 모로우붉은실, 참보라색우무)의 16종은 모든 조사시기에 관찰되었다. 해조류의 단위면적당 생물량은 평균 $629.68g;dry;wt;m^{-2}$이었으며, 계절별로 $119.30{sim}1,660.96g;dry;wt;m^{-2}$의 범위를 보였다. 조사지역 해조군집의 수직분포는 조간대에서 작은구슬산호말과 모자반류, 조하대 1 m에서 모자반류, 5 m에서 모자반류와 무절산호조류 그리고 10 m에서 무절산호조류로 대표되었다. 이재일,김현겸,유경동,윤희동,김영환 해양환경안전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5536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진분홍딱지
      Hildenbrandia rubra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2013-11-03
      MABIK AL0005536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진분홍딱지
      Hildenbrandia rubra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 2013-11-03
      MABIK AL0005537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진분홍딱지
      Hildenbrandia rubr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13-11-07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