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가시해마Hippocampus histrix Kaup, 1856
2004년 9월에 우리나라 남해안의 여수 주변 연안에서 해마 채집을 목적으로 총 30회 투망 작업을 하면서 2개체가 관찰되었으나, 우리나라의 해마 서식지에서도 관찰하기 매우 어렵다. 왕관해마, 진질해마에 비교해도 그 개체 수는 매우 적다.
[1]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해마 중에서 가장 두드러진 가시를 몸체에 지니고 있다. 외국 수역에서 관찰되는 가시해마에 비교하면 그 크기가 비교적 작다. 주둥이는 비교적 길며 주둥이에는 드물게 띠가 형성되어 있다. 가시의 끝은 다시 갈라져 있다. 등지느러미의 연조 수는 17~18개이고 관상돌기는 뒤로 약간 누운 듯하게 두드러져 있다.
[1]
일본,중국, 싱가포르
[2]
남해안
[2]
출처
[1]. Choi YU, Rho S, Jung MM, Lee YD, Noh GA. 2006. Parturition and early growth of crownedseahorse, Hippocampus coronatus in Korea. Korea Aquaculture Society 19(2), 109-118.
Jung MM, Choi YU, Lee JE, Kim JW, Kim SC, Lee YH, Rho S, 2007. Coexisting fish faunain the seahorse habitats. Korea Aquaculture Society 20(1), 41-46.
[2].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3]. Choi YU, Rho S, Jung MM, Lee YD, Noh GA. 2006. Parturition and early growth of crownedseahorse, Hippocampus coronatus in Korea. Korea Aquaculture Society 19(2), 109-118.
Jung MM, Choi YU, Lee JE, Kim JW, Kim SC, Lee YH, Rho S, 2007. Coexisting fish faunain the seahorse habitats. Korea Aquaculture Society 20(1), 41-46.
[4].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NCBI (Hippocampus histrix)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