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점해마

점해마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1814

  • 해양보호생물
  • CITES Ⅱ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ygii조기강 > Gasterosteiformes큰가시고기목 > Syngnathidae실고기과 > Hippocampus해마속 >
  • 종설명(Description)

    •   점해마는 조기강, 큰가시고기목, 실고기과, 해마속의 일종으로 형태적 특징에서 몸의 크기인 전장은 18cm에 이른다. 몸통의 구성축은 주둥이-아가미, 아가미-미병부 등 2개이다. 두부와 등지느러미의 체측은 좌우로 측편되어 있으며, 등지느러미 이후의 체측은 원통이다. 체형은 긴 사상구조이다. 살아 있을 때전체 체색은 연황색, 연적색 및 연녹색 등으로 다양하다. 수컷의 육아낭은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색채가 약간 연하다. 아가미 후단부터 등지느러미까지의 등 쪽에 안경 크기의 갈색 및 흑색 반점이 있다. 등지느러미에 2개의 연흑색 반문이 있고 다른 지느러미는 투명하다. 등지느러미는 체측 중앙의 전방에 위치하여, 두부 정관 방향으로 치우쳐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길이가 짧다. 배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없다. 복부의 골질융기선은 끝이 무디다. 항문 후방의 육아낭은 5-6개 체륜에 형성되어 있다. 육아낭의 복부에 가시가 없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기저 중앙에 위치하며, 길이는 매우 짧아 흔적적이다. 주둥이는 관상형이며, 그 말단에 구강이 있다. 안경 전방에 가시가 없고 안경 상단에 작지만 분명한 가시가 있다. 주둥이 길이는 눈 후연에서 가슴지느러미 기점전 길이와 비슷하다. 등지느러미 전방의 등 쪽 체륜 높이는 하단의 배 쪽 체륜 높이에 비하여 절반 정도이다. 생태적으로는 수심이 낮은 모래와 자갈 해저의 연안에 서식하는 어류로 알려져 있으며 국제적 보호종이다.

    •   수심이 낮은 모래와 자갈 해저의 연안에 서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연안 및 일부 서해안에서 어렵게 관찰되며, 과거 대비 현재 자원량이 현격하게 감소된 상태이다. 발견된 개체는 대부분 암컷으로 성비가 매우 불균형하다. 주 서식지인 중국 연안의 서식지 환경 파괴로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 중이다.
      [1]

    •   전장은 18cm에 이른다. 몸통의 구성축은 주둥이-아가미, 아가미-미병부 등 2개이다. 주둥이는 관상형이며, 그 말단에 구강이 있다. 안경 전방에 가시가 없고 안경 상단에 작지만 분명한 가시가 있다. 뺨에 1개의 가시가 있다. 가슴지느러미는 길이가 짧다. 배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는 없다. 복부의 골질융기선은 끝이 무디다. 골질판이 몸 전체를 덮고 있으며, 모든 체륜의 등 쪽 면에 날카롭지 않은 작은 가시가 있다. 몸통체륜의 체측 중앙부는 작고 무딘 가시가 있다. 아가미 후단부터 등지느러미까지의 등 쪽에 안경 크기의 갈색 및 흑색 반점이 있다.
      [1]

    •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태국, 호주

    •   여수시, 제주도
      [2]

    •   (약재) 정신(精神)을 안정시키고 진정(鎭靜)시키는 치법임; 신(腎)을 보하고 인체의 양기(陽氣)를 강건하게 하고; 근육을 이완시키고 경락(經絡)을 소통시키고;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뭉치거나 몰린 것을 헤치며; 기(氣)를 조화롭게 하며 활혈(活血)하게 하고; 기침을 멈추고 천식(喘息)을 안정되게 함

    • 출처

      [1]. Jung MK. 1991. The fishes of Korea, 3rd. Iljisa Pub. Co.

      [2].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3]. Jung MK. 1991. The fishes of Korea, 3rd. Iljisa Pub. Co.

      [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 참고문헌

      Froese, R. and D. Pauly. Editors. (2020). FishBase. Hippocampus trimaculatus Leach, 1814. Accessed through: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at: https://www.marinespecies.org/aphia.php?p=taxdetails&id=212232 on 2020-10-25
      Wiswedel, S. 2015. Hippocampus trimaculatus.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5: e.T10087A17252219. https://dx.doi.org/10.2305/IUCN.UK.2015-2.RLTS.T10087A17252219.en. Downloaded on 25 October 2020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PKU 60258 해양어류자원 조직 점해마
      Hippocampus trimaculatus
      대한민국 2017-05-23 500 mg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