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진흙말검물벼룩Hippomolgus limiticus Hwang, Lee & I.H. Kim, 2016
암컷: 체장 1.26 mm. 외곡격이 단단함. 전체부는 방추형. 후체부 5마디. 꼬리가지(caudal ramus)의 길이는 폭의 약 5배이고 항문절보다 1.6배 길다. 꼬리강모는 7개. 제1촉각은 뭉툭하며 6마디로서 첫째마디에는 커다란 돌기, 3개의 강모, 1개의 가시가 있다. 제2촉각은 4마디로서 강모식은 1, 1, 3+I, 7이다. 대악은 2개의 두꺼운 가시와 2개의 강모를 가진다. 제1소악의 강모 수는 7개. 제2소악의 둘째마디에는 2개의 돌기와 1개의 강모가 있다. 악각은 4마디이고 강모식은 1, 2, 0, 1이다. 제1-제4흉지의 강모식은 다음과 같다.
제1흉지: 저절 0-1 기절 1-I 외지 I-0; I-1; III, I, 4 내지 0-1; 0-1; V, 1
제2, 제3흉지: 저절 0-I 기절 1-0 외지 I-0; I-1; III, I, 5 내지 0-1; 0-2; IV, 2
제4흉지: 저절 0-1 기절 1-0 외지 I-0; I-1; II, I, 5 내지 0-1; 0-2; IV, 1
제5흉지의 외지는 길이가 폭의 약 2.7배이며 3개의 가시와 1개의 강모를 가진다.
수컷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 종은 Hippomolgus 속에서 세 번 째로 기록된 종으로서, 다른 두 종은 노르웨이와 마다가스카르에서 기록되었다. Hippomolgus limiticus의 분포는 한국이며, 모식산지는 남해의 수심 48m 펄 저질이다. 숙주 미상이다.
남해(광양)
[1]
출처
[1]. 해양간극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간극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Hwang HS, Lee JM, Kim I-H, 2016. Two new species of Clausidiidae (Copepoda, Poecilostomatoida) from Korea.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32(2):93-104
NCBI (Hippomolgus limiticus)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