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붉은메기

붉은메기Hoplobrotula armata (Temminck & Schlegel, 1846)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Ophidiiformes첨치목 > Ophidiidae첨치과 > Hoplobrotula붉은메기속 >
  • 종설명(Description)

    •   수심 200~350m의 사니질 해저에 서식한다. 상업적 가치가 높다.
      [1]

    •   두부는 뭉툭하고 몸은 길게 신장되어 있다. 양악에 작은 이빨이 있다. 측선은 꼬리까지 완전하며, 등지느러미 기저부와 인접하여 있다. 두부와 체측의 체색은 황갈색이며, 복부는 연황색이나 유백색이다. 체측 하단부를 제외한 체측에 안경 크기의 진갈색 반점과 반문이 산재되어 있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저부의 연조는 유백색이다. 유백색 기저부의 외연은 갈색과 흑색이다.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는 투명하거나 연황색이다. 비늘은 원린이며, 안경 뒤쪽의 아가미 부위와 체측 전체를 덮고 있다.
      [1]

    •   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   제주도, 부산시, 포항시

    • 출처

      [1]. CBD-CHM Korea

    • [2]. CBD-CHM Korea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기능성 지질 추출 소재로서 Fish Frames의 지질성분 특성 수산가공 부산물인 fish frame을 기능성 지질 추출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6종의 fish frame(붉은메기, 연어. 삼치, 고등어, 붕장어, 가다랑어 등)에 대한 지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Fish frame에 대한 어류 뼈의 수율은 가다랑어가 64.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연어(57.9%), 붕장어(54.6%), 붉은 메기(42.0%), 삼치(41.7%)등의 순이었으며, 고등어가 32.6%로 가장 낮았다. 어류 뼈 유래 총 지질 중 중성 지질의 함량은 삼치가 23.3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붕장어 (21.5 g/100 g), 연어 (16.0 g/100 g), 고등어 (15.5 g/100 g)의 순이었으며, 가다랑어와 붉은 메기의 경우 다른 4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다. 붉은 메기를 제외한 5종 어류의 중성지질 모두가 근육 및 뼈 지방에 관계없이 TG가 주성분(근육지방, 71.9-83.2%; 뼈지방, 74.2-86.9%)이었고, 다음으로 근육지방의 경우, FFA(8.1-19.2%), 뼈지방의 경우 FS(5.5-l5.5%)이었다. 붉은 메기의 경우, 중성지질의 주성분인 TG의 조성비(근육지방, 48.6%; 뼈지방, 45.3%)가 다른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낮았고, FFA의 조성비 또한 근육지방(41.6%) 및 뼈지방 (43.4%)에 관계없이 모두 5종의 어류에 비하여 확연히 높았다. 어류 뼈의 중성 지질의 EPA+DHA 조성은 연어 가 29.3%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다랑어(27.1%), 붉은 메기(27.0%), 고등어(25.7%), 삼치(21.6%)의 순이었고, 붕장어의 경우 14.9%에 불과하였다. 이상의 수율, 중성지질 함량, 유리지방산 조성 및 EPA+DHA 조성 비율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기능성 지질 추출원으로는 연어가 가장 우수하였고, 다음으로 삼치, 붕장어, 고등어, 가다랑어 등의 순이었으며, 붉은 메기의 경우 부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 김정균,한병욱,김혜숙,박찬호,정인권,최영준,김진수,허민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39건, 1/48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04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붉은메기
      Hoplobrotula arm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5-28
      MABIK PI0000006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붉은메기
      Hoplobrotula arm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5-18
      MABIK PI000000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붉은메기
      Hoplobrotula arm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5-30
      MABIK PI0000009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붉은메기
      Hoplobrotula armat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5-30
      MABIK PI0000012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붉은메기
      Hoplobrotula armat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2011-05-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