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눈가시곤쟁이Hypererythrops zimmeri Ii, 1937
이 종에 관한 생물학적 정보는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생식과 관련하여 거의 모든 종에서 동일하게 곤쟁이의 암컷은 여섯 번째 흉지(가슴다리)의 바닥 근처에 위치한 난관의 외부 생식기 구멍을 통해 알을 보육낭 속으로 내보낸다. 수컷이 이 보육낭 속으로 정자를 배출하여 체외수정이 이루어진다. 보육낭 속의 수정란은 배아단계, 노플리우스 1기(눈이 없음), 후기노플리우스의 발생과정을 거쳐 유체(성체와 닮은꼴)단계에 이르면 유체는 보육낭을 빠져 나와 개체로서의 생활을 시작한다 (Mauchline, 1980).
곤쟁이의 생식 이외에 먹이와 식성, 생리, 환경 요소에 대한 반응, 개체군 동태, 포식자와 기생 등에 관한 것은 종과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이것들에 관한 내용은 Tattersall and Tattersall (1951) 및 Mauchline (1980) 등에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다.
갑각은 눈자루와 제2촉각 전체를 덮지 않는다. 갑각의 앞쪽 가장자리의 끝은 둔각의 짧은 삼각형의 액각(rostrum)으로 형성되어 있고, 앞 가장자리는 눈자루 바깥쪽 구석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눈은 크고 눌러져 있고, 제1촉각자루의 제1마디 끝에 도달한다. 각막은 크고, 눈자루는 등쪽에서 보아 삼각형이고 가시모양의 1개의 돌기를 가진다.
제1촉각자루는 수컷에서 튼튼하고, 제 1마디의 길이는 제3마디와 거의 같다. 암컷의 경우, 수컷의 자루 보다 약간 더 가늘고, 제1마디의 길이는 나머지 2마디를 합한 길이와 비슷하다. 제2촉각비늘은 제2촉각자루보다 약간 더 길게 뻗어 있다. 촉각비늘의 외측 가장자리는 매끈하고 앞쪽으로 1개의 강한 가시로 끝나며, 끝부분에 마디를 구분하는 경계선(suture)이 존재한다. 촉각비늘의 기저절(basal joint)의 양쪽 구석에 1개의 가시가 있다. 제2촉각자루의 길이는 비늘의 2/3에 해당한다.
제3~8흉지는 가늘고, 내지는 외지보다 더 길다. 내지의 전절(propodus)은 3마디이며, 몸쪽 관절은 뚜렷하지 않다. 흉지 외지의 기절판(basal plate)은 외측 구석에 1개의 가시가 있다. 암컷의 보육낭은 3쌍의 복란엽(oostegites)으로 되어 있다.
흉절은 수컷에서 후반 6개의 흉판(sterna)에 전방으로 향한 가시모양의 돌기가 존재한다. 복절은 처음 4개의 체절판에서 유두모양의 돌기가 돋아 있다.
제1복지는 1마디로 된 내지와 8마디의 외지로 나뉘고, 제2~5복지는 서로 모양과 크기가 비슷하며, 7마디로 된 내지와 8마디로 된 외지로 되어 있다. 수컷의 복지에서는 내지에 엽상의 새판(branchial plate)이 있다.
미절(telson)은 짧은데 그 길이는 기부 폭의 약 1.3배에 해당하며, 약간 사다리꼴 모양이다. 미절의 정단부는 기부 폭의 1/4 길이이고, 2쌍의 길고 튼튼한 가시와 안쪽에 매우 작은 1쌍의 가시와 1쌍의 깃털모양의 강모가 존재한다. 미절의 좌우 가장자리 전체에 10~14개의 짧은 가시가 일정한 간격으로 장식되어 있다. 미지(uropod)의 내지는 미절 길이의 약 1.5배에 해당하며, 안쪽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없다. 미지 외지의 길이는 미절의 약 2배이다.
Hypererythrops zimmeri는 눈자루 바깥쪽 구석에 있는 갑각의 앞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가시가 있는 점, 눈자루에 가시모양의 1개의 돌기를 가지는 점, 미절의 형태 및 가시 배열에 의해 같은 속의 다른 종과 구분될 수 있다[1].
NCBI (Hypererythrops zimmeri)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