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연어병치

연어병치Hyperoglyphe japonica (Döderlein, 1884)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Actinopteri조기강 > Perciformes농어목 > Centrolophidae샛돔과 > Hyperoglyphe연어병치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연어병치는 조기강, 농어목, 샛돔과, 연어병치속에 속하는 척삭동물의 일종으로 형태적 특징에서 두부와 체측은 좌우로 측편되어 있다. 체형은 장타원형이다. 두부와 체측의 전체 체색은 진갈색이다. 두부와 체측에 반점이나 반문이 없다.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황갈색이다. 가슴지느러미의 하단 연조는 진회색이며 다른 부위는 투명하다. 배지느러미의 하단연조는 연황색이다. 꼬리지느러미는 황갈색이며, 후단은 백색이다. 등지느러미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전단부에서 시작한다. 등지느러미 극조는 길이가 매우 짧아서 흔적적이며, 극조의 기저막은 없다. 등지느러미 연조의 기저 시점은 가슴지느러미 중앙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등지느러미 연조부의 외연은 일직선이다. 가슴지느러미는 체측 중앙보다 약간 하단에 위치한다. 그 후단은 항문에 이르지 못하거나 이른다. 배지느러미는 가슴지느러미 기저의 약간 후방의 복부에 있으며, 그 후단은 가슴지느러미의 중앙에 이른다. 항문은 등지느러미 연조부 기저 시점보다 약간 후방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는 등지느러미 연조부의 중앙보다 약간 전방에 위치한다. 뒷지느러미 외연은 일직선이다.비늘은 원린이며 주둥이와 새개부에 비늘이 없다. 상하악에 작은 이빨이 있으나, 서골과 구개골에 작은 이빨이 없다. 생태적으로 수심 300-400m의 연안에 서식하는 식용 가능한 어류로 갑각류 등의 저서 무척추동물과 소형어류를 주로 섭식하며 산란기는 겨울∼초봄으로 알려져 있다.

    •   일본, 대만

    •   부산, 울릉도, 제주도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2건, 1/5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417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병치
      Hyperoglyphe japonica
      대한민국 울산광역시 2011-12-04
      MABIK PI0000422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병치
      Hyperoglyphe japonic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12-19
      MABIK PI0000476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병치
      Hyperoglyphe japonic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2-01-03
      MABIK PI0000487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병치
      Hyperoglyphe japonica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사하구 2012-01-03
      MABIK PI0001206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연어병치
      Hyperoglyphe japonica
      대한민국 남해 2012-10-18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