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가시우무

가시우무Hypnea asiatica P.J.L.Geraldino, E.C.Yang & S.M.Boo, 2009

  • 국외반출승인대상종 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Gigartinales돌가사리목 > Cystocloniaceae가시우무과 > Hypnea가시우무속 >
  • 종설명(Description)

    •   ▵ Type locality : Gampo, Gyeongju, Korea
        
        주축은 뚜렷하지 않으며, 굵기가 1-2mm로 원주상이며, 가시모양의 소지들이 매우 조밀하게 주축의 전면에서 생긴다. 큰가지는 호생으로 분기하며, 이들은 다시 2, 3회 더 분지한다. 소지는 보통 향축면으로 나며. 분지 각도는 직각에 가깝다. 말단 소지는 가늘다. 주축 혹은 가지의 횡단에서 보면, 수층의 세포들은 세포벽이 비후되어 있으며, 랜즈모양이 된다. 낭과는 구형이고, 자루가 없으며, 단독 혹은 2, 3개씩 모여 생긴다. 사분포자낭은 소지끝에 생기며, 띄모양으로 분열한다. 동해안의 남부, 남해안 및 제주도의 조간대 하부에서 흔히 분포한다. 여름철에 주로 번무한다. 이종은 이전에는 Hypnea charoides J.V.Lamouroux 로 알려졌었다. [1]
        돌가사리목 열매가시과에 속한다. 엽상체는 암적색 혹은 적색으로 연골질이며, 체장은 10~30cm 정도이다. 엽상체는 붉은색의 끈 모양으로 가시 모양의 작은 가지를 많이 내며 서로 엉킨다. 식물체의 줄기는 조금 뚜렷하고 꾸불꾸불하며 불규칙하게 작은 가지를 많이 낸다. 작은 가지는 끝이 뾰족하며 기부는 잘록하지 않다. 피층은 작은 구슬 모양의 세포가 1∼2겹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조직은 두꺼운 세포벽을 가진 원통 모양의 세포로 되어었다. 중축세포가 줄기의 가운데 있고 5개의 주심세포가 있다. [2]

    •   반상의 기근으로 암반에 부착 또는 다른 식물체에 엉켜자란다. 조간대 하부부터 조하대에 분포하며 산호말류(Amphiroa spp, Corallina spp.), 모자반류(Sargassum spp.)등 다른 식물체에 착생하기도 한다. [2],[3]

    •   동해안, 남해안, 제주도

    •   일본, 타이완

    •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피부세포 재생효과 [2]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호료, 캐러지난 생성

    •   1.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출원번호 : 10-2014-0015545 (2014.02.11) / 출원인 : ㈜대한하이텍건설, 강창구
        등록번호 : 10-1438501 (2014.09.01) / 출원인 : ㈜대한하이텍건설, 강창구
        2.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출원번호 : 10-2013-0090078 (2013.07.30) / 출원인 : ㈜대한하이텍건설, 강창구
        등록번호 : 10-1405297 (2014.06.02) / 출원인 : ㈜대한하이텍건설, 강창구
        3. 가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출원번호 : 1020120067339 (2012.06.22) / 출원인 : 박시향
        4. 갈고리가시우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출원번호 : 1020140013030 (2014.02.05) / 출원인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등록번호 : 1016094360000 (2016.03.30) / 출원인 :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5.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출원번호 : 1020140085071 (2014.07.08) / 출원인 : 대진건설(주), 강창구
        등록번호 : 1014915890000 (2015.02.03) / 출원인 : 대진건설(주), 강창구

    • 참고문헌

      [ 출처 ]
      [2]. 유용한 서해의 바닷말
      [3]. 제주 우도의 해조류 다양성(2022년)
      [ 참고문헌 ]
      한용봉. 2010. 식용해조류 I,II
      강제원. 1968. 한국동식물도감. 제 8권 식물편 (해조류). 문교부, 서울, pp. 464. 이용필, 2008. 제주의 바닷말. 제주대학교, 제주, pp. 477. 남기완, 강필준. 2015. 한국의 조류, 제 4권 11호 해산 홍조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돌가사리목: 돌가사리과. 열매가지과, 붉은땀띄과). 국립생물자원관, 인천. pp. 149. 부성민, 고용덕. 2012. 한국의 해양식물. 국토해양부 해양국한생물 분자유전체 사업단. 서울, pp. 233. Geraldino, P.J.L., Yang, E.C. Kim, M.-S. & Boo, S.-M. 2009. Systematics of Hypnea asiatica sp. nov. (Hypneaceae, Rhodophyta) based on morphology and nrDNA SSU, plastid rbcL, and mitochondrial cox1. Taxon 58(2): 606-616.
      Oh et al. 1990. Algae
      Lee et al. 2007. Algae
      Kim et al. 2012. Food Science Biotechnology

      • [담당자]국립해양생물자원관 : 곽민석 전임연구원(041-950-0836, poohaxx@mabik.re.kr)
      • [자료 수정 날짜]2022-12-21

    등급정보

    경제적 가치 - 관상·조경, 문화·관광, 산업소재, 식용, 약용, 환경식재로 활용
    경제적가치
    관상·조경, 문화·관광산업 소재식용약용환경식재로 활용
    1111
    생태적 가치 - 법정보호종, 개체(군)수,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분포 특성, 서식지내 생태적 역할
    생태적가치
    법정보호종개체(군)수생육/서식환경 특이성분포 특성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2222
    학술적 가치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전통지식 연계성, 유전적 특성, 지식재산권, 한국고유성
    학술적가치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전통지식 연계성유전적 특성지식재산권한국고유성
    112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한국산 미기록 해조 잔가지가시우무 (돌가사리목, 열매가지과) In the course of survey of marine algal flora in Korea, a red algal species was collected from Pohang located in the eastern coast of Korea. This shares features of Hypnea, and is characterized by more or less percurrent axis and numerous and short branchlets densely covering axis and branches with basal constrictions, and absence of lenticular thickenings in medullary cell walls. In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rbcL sequences, this species nests in the same clade as Hypnea esperi. Genetic distance between this Korean entity and H. esperi was in intraspecific range as 0.6%. This alga is identified as Hypnea esperi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This is the first record of H. esperi in Korea. KANG, Pil Joon,NAM, Ki Wan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상세보기
        한국의 자생 해조 발굴 연구: 미기록종 끈가시우무 (열매가지과, 돌가사리목) In the course of the survey of indigenous species, a red algal Hypnea species was collected from eastern coast of Korea. This species is distinct from other species of Hypnea in having percurrent and cylindrical axis, linear to lanceolate branchlets in axes except their lower portion and medullary cell walls without lenticular thickenings. This Korean entity is identified as Hypnea chordacea K$ddot{u}$tzing (Gigartinales, Rhodophyta) based on those feature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Hypnea chordacea in Korea. Kang, Pil Joon,Nam, Ki Wan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상세보기
        한국의 자생 해조 발굴 연구: 미기록종 털가시우무 (열매가지과, 돌가사리목) 한국의 자생해조 발굴연구의 과정에서 털가시우무(Hypnea flagelliformis Greville ex J. Agardh)가 동해 연안에서 채집되었다. 본 종은 뚜렷한 주축, 잘록한 기부의 가지, 주축 및 가지에 밀생하는 다수의 짧은 소지가 있으며, 수세포 벽에 원형질 비후가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털가시우무는 한국산 미기록종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보고된다. Kang, Pil Joon,Nam, Ki Wan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5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포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3-0090078 강창구 | (주)대한하이텍건설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자전거 도로포장용 아스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2014-0015545 (주)대한하이텍건설 | 강창구 원문정보
        해조류를 이용한 친환경 콘크리트 블록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1020140085071 대진건설(주)|강창구 원문정보
        가시우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1020120067339 박시향 원문정보
        갈고리가시우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을 위한 조성물 1020140013030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94건, 1/19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1961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우무
      Hypnea asiatica
      대한민국 2011-12-27
      MABIK AL0001961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우무
      Hypnea asiatica
      대한민국 2011-12-27
      MABIK AL0001961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우무
      Hypnea asiatica
      대한민국 2011-12-27
      MABIK AL0001961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우무
      Hypnea asiatica
      대한민국 2011-11-26
      MABIK AL0001961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가시우무
      Hypnea asiatica
      대한민국 2011-11-26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