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능성어

능성어Hyporthodus septemfasciatus (Thunberg, 1793)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Epinephelidae > Hyporthodus >
  • 종설명(Description)

    •   최대 100cm이상 자라는 대형종으로 체색은 갈색으로 옆구리에 7줄의 가로 줄무늬가 존재한다. 이 중 7번째 띠는 꼬리자루에 있고 폭이 넓다 하지만 이 띠는 성어가 되면서 불분명해진다. 체형은 타원형이며 입은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돌출했다. 산란기는 5~9월에서 연안산란하며 암컷에서 수컷으로 바뀌는 성전환을 한다. 유어는 요각류등 소형 플랑크톤을 섭이하나 크면서 새우, 게등 어류 등을 잡아먹는다. 주 서식지는 연안의 암반해역에서 주로 서식하며 수심 70~120m 되는 깊이에서 주로 서식하며 한번 정착하면 잘 떠나지 않는 습성이 있다.
      [1]

    •   구문쟁이, 아홉돈배기, 일곱돈바리
      [1]

    •   연안이나 심해의 암초 지역에 서식하며, 낚시에도 잡힌다.
      [2]

    •   몸과 머리는 측편되었고 긴 타원형이다. 주둥이가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약간 돌출되었다. 전새개골의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의 가시가 있으며, 그 아래쪽에 1∼2개의 강한 가시가 있다. 종렬비늘 수는 105∼120개, 측선공비늘 수는 63∼71개이다. 몸에는 7개의 진한 흑갈색 가로줄무늬가 있고, 이 가운데 둘째∼다섯째 번 줄은 등지느러미 위까지 이어진다. 뒤에서 둘째 번 줄은 2개로 갈라졌다가 배 부분에서 합쳐진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에는 흰색 테두리가 있다. 전장 약 90 cm.
      [3]

    •   일본, 중국,
      [1]

    •   남해, 제주도
      [1]

    •   회, 초밥, 조림, 구이 등 다양한 요리 재료로 이용된다.
      [1]

    • 출처

      [1].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3].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4]. 해양어류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5].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6].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 참고문헌

      1. 한국어류대도감 (김 등, 2005)
      2. 수산생명자원정보센터 (국립수산과학원)
      3. www.fishbase.org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바리과 어류 3종(능성어 Hyporthodus septemfasciatus, 붉바리 Epinephelus akaara, 자바리 Epinephelus bruneus)에 대한 신경괴사증바이러스(Nervous Necrosis Virus, NNV)의 생백신 처리 효과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afety and efficacy of a low temperature immunization protocol with NNV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and long tooth grouper, Epinephelus bruneus and seven band grouper, Hyporthodus septemfasciatus. Further, growth rate between immunized and naive fish was evaluated during the experiment to check side effect of immunization. Three grouper species were immunized by immersion method with live NNV at 105.0 TCID50/mL at 16.5℃ for 30 min and reared for 120 days at natural sea water temperature. To evaluate growth rate, total length and wet weight was measured 7 times after immunization. Immunized three grouper species were challenged by intramuscular inoculation with NNV at 104.2 TCID50/100 μL/fish. Immunization at low temperature with live NNV did not show any clinical symptoms of infection, mortality and inhibition of growth. After challenge, cumulative mortality of naive seven band grouper, red spotted grouper, long tooth grouper were 45, 10, 20 %, respectively. However no mortality was observed at immunized groupers. Thus, it was demonstrated that immunization at low temperature with live NNV are able to protect three different species of groupers without inhibition of growth. 김시우,박정준,홍창기,오명주 한국어병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6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능성어류의 초기 먹이생물 및 그 배양방법 2012-0011476 윤락진 원문정보
        먹이생물 배양을 통한 능성어류의 종묘생산방법 2012-0011486 윤낙진 원문정보
        부화자어 먹이로 이용 가능한 남방소모충 및 이것의 배양방법 2005-0036991 한국해양연구원 원문정보
        자바리와 능성어의 식별 방법 및 그 키트 2013-0038330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원문정보
        붉바리, 자바리, 능성어 종 동시 판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붉바리, 자바리, 능성어 종 동시 판별 방법 102015003247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문정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48건, 1/10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14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능성어
      Hyporthodus septemfasciat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5-09
      MABIK PI0000032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능성어
      Hyporthodus septemfasciat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06-08
      MABIK PI0000353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능성어
      Hyporthodus septemfasciatu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2011-11-23
      MABIK PI0000366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능성어
      Hyporthodus septemfasciatus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2011-11-01
      MABIK PI0000366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능성어
      Hyporthodus septemfasciatus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2011-11-04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