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아홉니부채새우Ibacus novemdentatus Gibbes, 1850
전체적으로 옅은 노란색을 띠는 분홍색이고 적갈색의 얼룩무늬가 등 표면에 있다. 배면은 갈색과 흰색이다. 가슴다리는 짙은 적갈색이다. 두흉갑과 더듬이의 윤곽을 등에서 보면 거의 사각형에 가깝다. 두흉갑의 등은 볼록하고 중앙과 그 양 옆에 3개의 마루가 있는데 중앙의 것에는 4개의 뚜렷한 돌기가 있다. 갑각의 앞가장자리에는 일반적으로 작지만 분명한 가시가 8~10개 있다. 옆가장자리의 칼자국 앞에는 가시가 없으며 등 배쪽으로 얇아 판 모양을 하고 있다. 뒷잎의 바깥가장자리에는 7∼8개의 이가 있는데 뒤의 것일수록 작다. 눈구멍은 뒤 가장자리에 사각형으로 움푹 들어간 곳에 있으며, 눈구멍 앞 가장자리에 1쌍의 삼각형 이가 있다. 이마뿔뒷마루는 전체에 걸쳐서 분명하고 4개의 낮고 뭉툭한 이가 있다. 가슴 배갑의 양 옆 가장자리에는 첫번째~다섯번째 가슴다리의 각 바닥마디의 옆에 5쌍의 돌기가 있다. 가슴다리에는 집게를 이루는 것이 없으며 첫번째 가슴다리가 가장 굵고 짧다.
[1]
일본, 중국, 대만 필리핀, 베트남, 호주, 서인도양, 동아프리카 등 인도서태평양 지역
[1]
제주
[1]
아홉니부채새우는 제주도에서 많이 어획되는 수산자원이다.
[1]
출처
[1].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2]. 해양생명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1단계 3차년도)
참고문헌
1. Gibbes, L.R. (1850). On the carcinological collections of the United States, and an enumeration of species contained in them, with notes on the most remarkable, and descriptions of new specie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3: 165-201
2. Holthuis, L.B. (1991). FAO species catalogue. Vol 13. Marine lobster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pecies of interest to fisheries known to date. FAO fisheries Synopsis. 125 (13):292 p
3. 차형기, 이장욱, 박차수, 백철인, 홍선윤, 박종화 & 최광호. (2001). 한국새우류도감. 국립수산과학원, 부산, 188.
NCBI (Ibacus novemdentatus)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