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여신이토통통노벌레Itostenhelia polyhymnia Karanovic & Kim, 2014
몸은 서양배 모양이며, 몸 길이는 405-428 μm이다. 전체부와 후체부의 구분이 뚜렷하다. 이마뿔은 종모양이며, 이분지된 말끝 끝 아래 부분에 강한 잔가시열을 가진다. 생식이중절은 배쪽으로 완전히 융합되어 있으나, 등쪽과 측면은 융합되어 있지 않다. 꼬리가지는 원통형이며, 길이는 너비의 약 3.5배 정도이다. 암컷의 제1촉각은 8개의 마디를 가지고 있으나,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마디는 부분적으로 융합되어 총 7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대악의 저절 말단부에 가운데에 위치하는 강모를 가지지 않는다. 내지는 길고 바깥쪽으로 휘어져 있으며 7개의 강모를 가지는데 끝가장자리에 위치한 강모 중 하나는 매우 길게 신장되어 있다. 제1소악의 내지와 외지는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 2개, 4개의 강모를 가진다. 제2소악의 전저합절(syncoxa)는 3개의 내돌기를 가지는데, 몸쪽부터 각각 2, 3, 3개의 강모를 가진다. 턱다리는 저절, 기절, 그리고 내지 2마디로 구성되며, 각각 0, 3, 2, 2개의 강모를 가진다. 제1흉지는 세마디로 된 외지와 두마디로 된 내지를 가지며, 제2-4흉지의 외지와 내지는 모두 세마디로 구성된다. 제1-4흉지의 강모식은 다음과 같다(외지/내지): 제 1흉지, 0.1.022/1.211; 제2흉지, 1.1.223/1.2.121; 제3흉지, 1.1.322/1.1.321; 제4흉지, 1.1.322/1.1.221. 수컷의 성적이형은 제2흉지에서만 나타낸다. 암컷 제5흉지의 기내지는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작고 삼각형 모양의 저절간판(intercoxal sclerite)를 가진다. 내지엽과 외지 사이에 잔가시열을 가진다. 내지옆은 조금 발달되어 있으며 말달에 4개의 강모를 가진다. 외지는 난형이며, 그 길이는 폭의 약 두배 정도이며, 총 5개의 강모를 가진다. 수컷 제5흉지의 기내지는 서로 융합하여 하나의 판(plate)으로 변형되어 있으며, 총 4개의 가시(한쪽에 2개)를 가진다. 외지는 암컷에 비하여 현저히 작고 안쪽에 3개, 말달에 2개의 강모를 가지는데, 말단의 안쪽 강모는 외지와 기저부에서 융합되어 있다.
[1]
남해(광양만)
[1]
출처
[1]. 해양간극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간극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Karanovic T & Kim K, 2014. New insights into polyphyly of the harpacticoid genus Delavalia (Crustacea, Copepoda) throug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study of an unprecedented diversity of sympatric species in a small South Korean bay. Zootaxa, 3783(1): 001–096.
NCBI (Itostenhelia polyhymni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