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민태

민태Johnius grypotus (Richardson, 1846)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Chordata척삭동물문 > Teleostei > Perciformes농어목 > Sciaenidae민어과 > Johnius민태속 >
  • 종설명(Description)

    •   은 약간 가늘고 길며 측편한다. 주둥이는 둥글며 약간 돌출한다. 입은 아래에 위치하고 위턱은 아래턱보다 약간 돌출하며, 그 뒤끝은 눈의 중앙 아래에 도달한다. 아래턱의 밑면에는 5개의 작은 구멍이 있으며, 수염은 없다. 양 턱 모두 앞쪽에는 4∼5줄의 이빨이 있고, 뒤로 갈수록 줄어들며 윗턱은 가장 바깥쪽 이빨이 안쪽보다 매우 크지만 아래턱은 거의 같은 크기이다. 주둥이 부분, 목덜미, 등지느러미는 연조부, 뒷지느러미 기저 부분은 둥근 비늘이며, 그 외는 빗비늘로 덮여 있다. 옆줄은 앞부분은 둥글게 구부러져 있지만 뒷지느러미 위쪽에서 거의 직선으로 꼬리지느러미에 도달한다. 몸 빛깔은 등쪽은 연한 회청색, 배쪽은 은백색이며 아가미뚜껑 뒷부분과 등지느러미 가시부 끝부분은 암갈색이다. 바닥이 모래나 펄질인 수심 80m 이내의 얕은 바다에 주로 서식한다. 요각류, 갯지렁이류, 새우류, 게류, 젓새우류, 오징어류, 소형어류 등을 포식한다. 산란기는 4∼7월로서 이 시기가 되면 어군을 형성하여 서해안의 얕은 곳으로 이동하여 산란하며, 포란수는 약 7만∼10만 개이다. 부화 후 만 1년이면 체장 8∼9cm, 2년이면 12cm 전후로 성장하며, 체장은 약 19cm, 수명은 2∼3년으로 추정된다. 겨울철에는 약간 깊은 곳으로 이동하며 봄이 되면 연안으로 이동한다.

    •   봉금이-평남, 철산

    •   북서태평양 - 일본 남부, 중국, 대만

    •   서해, 남해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황해 중부에서 저층 트롤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ish, caught by bottom trawling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east of Korea),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6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studied at four research 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46 species, 31 families, and 14 order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Engraulis japonicus, Larimichthys polyactis, Johnius grypotus, Liparis tanakae, and Larimicthys crocea. 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s, richness, diversity, and dominance to gain a measure of the biodiversity.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4 (50,053 individuals), while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1 (44,090 individuals).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at St. 2 (E = 0.65) and lowest at St. 3 (E = 0.62).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at St. 4 (H@@@@ = 2.31) and lowest at St. 3 (H@@@@ = 2.23).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at St. 3 (D = 54.9%) and lowest at St. 2 (D = 47.7%). 주현,추보라,이성훈,유태식,한경호 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황해 중부에서 저층 트롤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양적변동 Fish, caught by bottom trawling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east of Korea), in the spring and summer of 2016 were assessed for species composition and fluctuation in their abundance. The fish were studied at four researchstations (St.) and were found to be composed of 46 species, 31 families, and 14 order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Engraulis japonicus, Larimichthys polyactis, Johnius grypotus, Liparis tanakae, and Larimicthys crocea.All the species were assessed for their numbers, richness, diversity, and dominance to gain a measure of the biodiversity. The high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4 (50,053 individuals), while the lowest number of individuals was recorded at St. 1 (44,090 individuals). The evenness index was the highest at St. 2 (E = 0.65) and lowest at St. 3 (E = 0.62). The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at St. 4 (H’ = 2.31) and lowest at St. 3 (H’ = 2.23). Furthermore, the dominance index was the highest at St. 3 (D = 54.9%) and lowest at St. 2 (D = 47.7%). 주현,추보라,이성훈,유태식,한경호 (사)한국해양바이오학회 상세보기
        한국 서해남부해역 칠산도에서 채집된 민어과(농어목, 어상강) 5종 자어의 형태기재 및 분자동정 During the ichthyoplankton survey around the Chilsan Island (previously known as the biggest spawning ground of the Sciaenidae) in the southwestern sea of Korea from April to June in 2019 using ring nets, we collected a total of 12 individuals belonging to the family Sciaenidae. Using molecular methods, we identified five sciaenid species (Collichthys lucidus, Collichthys niveatus, Johnius grypotus, Nibea albiflora, and Pennahia argentata), and described and compared them on the basis of the preflexion larval stage. C. lucidus was well distinguished by the presence of occipital crests at preflexion stage. Although there were no occipital crests, preflexion larva of C. niveatus was distinguished by the absence of melanophore except for the upper part of the abdominal cavity. J. grypotus and N. albiflora were very similar morphologically, but were distinguished by myomere height (15.22-15.53% in J. grypotus vs. 11.66-12.78% in N. albiflora) in the percentage of notochord length, and eye diameter (32.58-33.37% in J. grypotus vs. 40.32-42.53% in N. albiflora) in the percentage of head length between specimens of similar size (J. grypotus: 3.22-3.23 mm, N. albiflora: 3.04-3.13 mm). P. argentata were distinguished by distribution of ventral caudal melanophore (one row of small spot in P. argentata vs. irregular patches on the central part of caudal in J. grypotus and N. albiflor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ies using more diverse species must be conducted for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morphogenesis of Sciaenidae. 장서하,김진구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장봉도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 군집의 주야 및 조석주기에 따른 변화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의 단기 변화양상(조석 및 주야변화)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6월 8일과 9일 양일 간에 걸쳐 변형된 오터트롤을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은 총 60종, 6,309개체, 67,835.46 gWWt이 채집되었다. 조사 결과,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의 분포 패턴은 주야와 조석 주기에 따라 변화하였다. 조석에 따라서는 크게 2개로 양분되어 간조 시기와 만조 시기로 구분되었다. 2개의 조석형태에 따른 생물량의 차이를 보면, 간조 시기$(13^h30@@@@,\;16^h30@@@@,\;01^h30@@@@,\;04^h30@@@@)$의 생물량은 만조 시기$(19^h30@@@@,\;21^h30@@@@,\;10^h30@@@@,\;13^h00@@@@)$의 그것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주야에 따라서는 크게 3개의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즉, 1)야간에 주로 출현하는 종군(자주새우와 보리새우과의 새우류, 꽃게과의 게류, 볼락과의 어류), 2)주간에 주로 출현하는 종군(참꼴뚜기과의 두족류와 멸치과의 어류), 마지막으로 3)주야에 따른 일정한 분포패턴을 보이지 않는 종군(민태과, 쥐노래미과, 참서대과의 어류, 분지성게과의 성게류) 등이었다. 장봉도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의 주야 및 조석 주기에 따른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갯벌을 이용하는 대형 및 초대형저서동물은 주야보다는 조석 주기에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인수,홍재상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207건, 1/42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PI0000019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태
      Johnius grypotus
      대한민국 충청남도 홍성군 2011-05-05
      MABIK PI0000021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태
      Johnius grypotus
      대한민국 경상남도 거제시 2011-05-09
      MABIK PI00000431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태
      Johnius grypotus
      대한민국 경상북도 2011-06-13
      MABIK PI0000066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태
      Johnius grypotus
      대한민국 전라남도 2011-04-15
      MABIK PI0000073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태
      Johnius grypotus
      대한민국 전라북도 2011-04-20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