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4건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Application of light-emitting diodes (LEDs) fishing lights to improve catch rates of small-scale trammel net fishery in the Yellow Sea, China The small-scale trammel net fisheries are essential to the economy and well-being of coastal communities in the Yellow Sea, China. However, these fisheries are low efficient and urgently demand technical innovations to improve catch rat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field experiments in three traditional fishing grounds (Rizhao, Yantai, and Weihai) to test whether the addition of different colored light-emitting diodes (LEDs) fishing lights in the trammel nets could improve the catch rates of seven commercial species. Results showed that the effects of LEDs on catch rates were species-specific. Green LEDs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catch per unit effort (CPUE) of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i), fat greenling (Hexagrammos otakii), marbled flounder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stone flounder (Platichthys bicoloratus), Asian paddle crab (Charybdis japonica), and mantis shrimp (Oratosquilla oratoria) by 40%-72% compared with unilluminated nets, whil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atch rates of swimming crab (Portunus trituberculatus). Red LEDs harvested 58%-86% higher CPUE of fat greenling, marbled flounder, stone flounder, mantis shrimp, and swimming crab while catching fewer black rockfish and Asian paddle crab. Blue and white LEDs exhibited similar performance, which could significantly capture more black rockfish, fat greenling, and mantis shrimp and did not affect the catch rates of other species. The effects of LEDs were also size-dependent for certain species, and the catch rates generally increased with the length classes. Taking economic benefits into consideration, the green and red LEDs provided the highest profitability for Rizhao, while green LEDs performed best in Weihai and Yantai. This study is the first investigation on how artificial lights affected the catch rates of trammel nets. The findings of our study illustrated that trammel nets equipped with LEDs could serve as a viable fishing strategy in small-scale trammel net fisheries.
Yu, Mengjie,Liu, Changdong,Zhang, Liyou,Tang, Yanli Frontiers Media SA 상세보기 한국산 가자미과(가자미목, 어상강) 자어 10종의 분자동정 및 형태기재 We found ten species of larvae belonging to the family Pleuronectidae as a result of analysis on ichthyoplankton collected monthly from the East Sea, Yellow Sea, Korea Strait and East China Sea between February 2016 and May 2018 using bongo net. The ten species of pleuronectid larva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in morphology. Group A had three or four bars on the lateral side of the tail: Glyptocephalus stelleri, G. kitaharae,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and Hippoglossoides dubius. Group B had a row of melanophores along the dorsal and ventral side of tail: Cleisthenes pinetorum, Eopsetta grigorjewi, Dexistes rikuzenius, and Platichthys bicoloratus. Group C had dense melanophores which are covering trunk and tail entirely except caudal peduncle: Platichthys cornutus and Platichthys japonicus. The three groups did not associate with previous molecular phylogenetic studies except for the G. stelleri and G. kitaharae of the group A. 이수정,김진구,유정화,유효재,지환성,임양재 한국수산해양기술학회 상세보기 통영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와 줄가자미(Clidoderma asperrimum)의 위내용물 조성 통영주변해역에서 2010년 1월부터 8월까지 낚시, 자망 그리고 새우조망을 이용하여 돌가자미 102개체와 줄가자미 101개체를 채집하고 위내용물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위내용물 분석 결과 돌가자미는 이매패류와 어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줄가자미는 거미불가사리류가 위내용물의 대부분을 차지하여 저서성 육식어류로 나타났다. Prey-specific abundance 분석 결과 다른 가자미과 어류들과 비교하여 깊은 수심에 서식하는 돌가자미와 줄가자미는 각각 이매패류와 거미불가사리류에 섭식이 특화된 specialist predator로 나타났다. 돌가자미와 줄가자미는 같은 지역에 출현하는 유사종 사이에서 나타날 수 있는 먹이경쟁을 피하기 위해 서로 다른 식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남기문,허성회,허유심,정재묵,김현지,백근욱 한국어류학회 상세보기 사료내 갈색거저리 유산균 발효물 첨가의 돌가자미 치어 성장 효과 본 연구는 치어 돌가자미(Kareius bicoloratus)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료첨가물 개발을 위해 갈색거저리유충 분말배지(5 %)에 어병 항균 기능을 가지는 유산균을 발효 한 후, 사료첨가물로써의 효능을 실험하였다. 어류 병원체(비브리오균, 연쇄상구균)에 대한 항균기능을 가진 유산균(LAB; L. plantarum, W. paramesenteroides, P. acidilactici)으로 발효한 갈색거저리 추출 발효물의 양어 성장 실증실험을 위해 총 600 마리의 치어 돌가자미(약 5~6 g)를 공시하여 100마리씩 수조 6개에 임의 배치한 후 각 3수조씩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6주간 평균 전장과 체중을 측정하였다. 6주 후에 대조군의 전장 평균은 8.26 cm, 실험군은 8.42 cm이며, 대조군의 체중 평균은 19.71 g, 실험군은 20.28 g으로 HeTm_LpWpPa 첨가에 있어 성장효과가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6주간의 증체율은 대조군 223.26 %, 실험군 248.76 %로 HeTm_LpWpPa 첨가군이 25.5 %p 성장효과가 높고, 6주 동안의 일간성장률은 대조군 2.79 %/일, 실험군 2.98 %/일로 실험군이 0.19 %p 더 높았다. 또한 평균 체중 이하의 개체 수에 있어서도 3주째에는 대조군 27마리(9 %), 실험군 9마리(3 %)이고, 6주째에는 대조군 17마리(5.7 %), 실험군 3마리(1 %)로 실험군에서는 평균 체중 이하가 1 %로 균일한 성장 효과가 있었다. 이들 결과는 동애등에 유충 추출 유산균 발효물(HeTm_LpWpPa) 사료 첨가물의 10 % 내외까지 사용은 돌가자미를 포함하는 양어 치어의 성장 촉진에 유효할 것을 시사한다. 조현솔,박무억,홍선미 한국산학기술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건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돌가자미와 강도다리 교잡종의 3배체 유도방법 1020230074722 (주)아쿠아바이오텍 원문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