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몽다리서실Laurencia succulenta K.W.Nam, 2006
조간대 하부 부근의 해조류에 착생하여 생육한다.
[1]
식물체는 5-8 cm로 크고, 다른 해조류에 착생하며, 성기게 군생한다. 다육질성으로 거칠고 굵고, 체색은 갈색 또는 보라색을 띠는 갈색이다. 조직은 다소 연골질의 다육질성이나 단단하지는 않고, 건조표본 제작 시 대지에 붙는다. 다수의 보조적인 포복성 가지로 기질에 부착하며, 1개 또는 여러 개의 직립한 주지는 지름 1-2 mm로 기부의 포복성 가지로부터 비롯되며, 다소 편압되거나 원주상으로 보통은 뚜렷하고, 피라미드 모양이다. 때때로 부속지를 내나, 주지의 하부는 종종 나출되어 있거나 성기게 가지를 낸다. 가지는 기본적으로 2열생이며, 규칙적으로 우상분지하고, 때때로 불규칙적인 호생, 아대생 또는 아윤생 분지한다. 모든 가지는 미숙할 때 정단부로 갈수록 약간 가늘어지고, 말단소지는 원통형에서 곤봉형을 나타내고, 정단부는 절두형 또는 둥근 형태를 나타낸다. 영양체의 축세포는 모상엽 및 4개의 주심세포를 가지고, 표피세포는 정단 근처에서 약간 돌출하거나 하지 않으며, 울타리형 세포층을 형성하지 않고, 인접세포 간 2차 원형질 연락을 가진다. 보통 수세포벽에 반월형 비후는 없으나 두꺼운 세포벽은 종종 관찰되며, 2차적인 피층은 광범위하게 발달되어 있다. 웅성체의 소지는 팽이 모양으로 정단이 함몰된다. 낭과는 다소 원추형인 난형이고, 과공은 약간 돌출한다. 사분포자탁은 곤봉형이고, 배축성으로 형성된 사분포자낭을 가지며, 사분포자낭은 원추상으로 분열한다.
[1]
동해안(울릉도), 남해안(동백섬), 제주도(성산포)
[1]
출처
[1]. 남기완. (2011). 한국의 조류, 제 4권 3호, 해산 홍조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비단풀목: 빨간검둥이과: 서실속, 고들서실속, 담서실속, 개서실속.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3 pp.
[2]. 남기완. (2011). 한국의 조류, 제 4권 3호, 해산 홍조류. 홍조식물문: 진정홍조강: 비단풀목: 빨간검둥이과: 서실속, 고들서실속, 담서실속, 개서실속.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3 pp.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1 | 1 | 2 | 2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1 | 2 | 1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1 | 1 | 2 |
NCBI (Laurencia succulent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