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사자머리참갯지렁이

사자머리참갯지렁이Leonnates nipponicus Imajima, 1972

분류체계 : Animalia동물계 > Annelida환형동물문 > Polychaeta다모강 > Phyllodocida부채발갯지렁이목 > Nereididae참갯지렁이과 > Leonnates사자머리참갯지렁이속 >
  • 종설명(Description)

    •   모래펄 지대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   몸의 길이 약 26mm, 폭 5mm 정도이다. 몸의 색은 갈색이며 입앞마디는 특히 짙은 색을 띤다. 입앞마디는 아랫부분이 매우 길고 앞쪽 부분이 짧은 육각형 모양으로 폭보다 길이가 다소 길다. 앞가장자리에는 짧은더듬이가 2개, 꼭지더듬이가 2개, 눈이 4개 있다. 수염은 4쌍으로 길이는 짧다. 입주머니에는 원뿔꼴의 키틴질 이빨이 있다. 다리는 처음 두 쌍은 한 가닥이고 등다리 윗자락은 가느다란 삼각형 모양이다. 배다리의 앞자락과 뒷자락은 끝부분이 뾰족하다. 등다리의 가시는 모두 홈의 깊이가 같은 바늘 모양이고 배다리의 가시는 바늘 모양인 것과 갈고리 모양인 것이 있다.
      [1]

    •   태평양(일본)
      [1]

    •   동해(포항)
      [1]

    • 출처

      [1]. 백의인, 1989. 한국동식물도감 - 제31권 동물편(갯지렁이류). 문교부,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64pp.

    • [2]. 백의인, 1989. 한국동식물도감 - 제31권 동물편(갯지렁이류). 문교부, 국정교과서주식회사. 764pp.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1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보령 갯벌의 인위적 영향 및 생물학적 요인에 따른 대형저서동물 군집 변화 본 연구는 바지락과 쏙의 서식 구역이 대비되는 보령 주교 갯벌의 인위적인 환경 영향에 의한 저서동물 군집 특성을 확인하였다. 조사 기간 내 대형저서동물은 총 55종이 출현하였으며, 평균 서식밀도는 338 ind./m2, 생체량은 212.2 gWWt/m2이었다. 출현 종수는 상부(27종)에서 하부(37종)로 갈수록 증가하였고, 우점종은(상부: 둥근가시사자머리참갯지렁이, 중부: 고리버들갯지렁이, 하부: 바지락) 조위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집괴분석과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상위 10종의 저서동물 군집구조는 하부의 바지락 어장과 쏙 서식공 밀도가 높은 중부 정점 중심의 두 그룹으로 나뉘며, 특정 생물 종의 영향을 반영하였다. 쏙 서식 공간의 퇴적물 입도 조성은 변동 폭이 컸으나 연간 유지되었으며, 분급은 2.1 𝜑로 낮아져 같은 입자로 구성된 비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중부는 인위적인 영향이 높음에도 고리버들갯지렁이가 우점하고, 쏙 서식공 밀도와의 연관성을 보여 이는 종간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전승렬,옹기호,이지호,정윤아,구준호,오광석,박종우 한국해양학회 상세보기
    • 자원정보

      검색바

      총 1건, 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NA0014317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사자머리참갯지렁이
      Leonnates nipponicus
      대한민국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개야도 2016-08-25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