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검색바
민자루미끌부채

민자루미끌부채Lesleigha yamadae (Okamura & Segawa) G.W.Saunders & Kraft, 2011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Rhodophyta홍조식물문 > Florideophyceae진정홍조강 > Sebdeniales미끌부채목 > Sebdeniaceae미끌부채과 > Lesleigha민자루미끌부채속 >
  • 종설명(Description)

    •   엽체는 잎 모양으로 누워 자라고, 파상 모양으로 연변부에 다수의 뭉툭한 돌출부가 있으며, 둥그스름한 열편으로 갈라진다. 색상은 진한 암적색이다. 크기는 높이 5~6cm, 폭 8~10cm 이며 옆으로 신장한 배꼽 모양으로, 기부 부위의 작은 원형 부착기와 배면 표면에서 여기저기에서 돌출하는 2차 부착기를 갖는다. 엽상부는 살아있는 표본에서는 연하고 부드러우며, 건조표본에서는 표면이 매끄럽다. 엽상체의 두께는 500~700μm이고, 다축 체제로 사상체성 수층세포와 큰 내피층 및 작은 외피층세포로 구성되며, 엽변부 중첩 부위에 접합부가 형성된다. 수층조직은 느슨하게 배열된 사상체 세포로 구성되며, 이들 세포는 직경 4~6μm이고, 등경성 성상세포가 끼어 있다. 생태적인 특징으로 이 종은 5~7월에 조하대 수심 20~30m에 생육한다고 알려져 있다.

    •   조하대 암반층에 부착한다. 국내에는 제주도에 서식한다.
      [1]

    •   식물체는 진한 암적색으로 고착된 작은 부착기를 중심으로 누워서 자라며 큰 개체는 폭 12.5cm 정도에 이른다. 엽체는 약간의 물결 모양으로 견고하고 매끄러우며 그 가장자리는 무딘 톱니 모양을 보인다.
      [1]

    •   일본, 필리핀

    •   제주도 부근 문섬, 우도, 외돌개, 범섬 등

    •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2].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 참고문헌

      Segawa, S. (1938). On the marine algae of Susaki, Prov. Izu, and its vicinity, III. Scientific Papers of the Institute of Algological Research, Faculty of Science, Hokkaido Imperial University 2: 131-153, 11 figs, plates 32-36.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rbcL

    염기서열

    • 자원정보

      검색바

      총 35건, 1/7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AL0008075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자루미끌부채
      Lesleigha yamad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20-06-28
      MABIK AL00080754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자루미끌부채
      Lesleigha yamad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20-06-28
      MABIK AL00080753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자루미끌부채
      Lesleigha yamad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20-06-28
      MABIK AL00080752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민자루미끌부채
      Lesleigha yamad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2020-06-28
      MABIK TI00004090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조직 민자루미끌부채
      Lesleigha yamadae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문섬 2020-06-28 1 Tube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