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미끈망둑Luciogobius guttatus Gill, 1859
몸길이는 약 6cm이다. 몸은 미꾸라지 모양으로 가늘고 길다. 머리는 종편되었다. 주둥이는 둥글고, 아래턱은 전방으로 연장되었으며, 입은 약 45˚ 각도로 비스듬하게 열린다. 눈은 머리의 등 쪽에 있다. 1개의 등지느러미는 몸 절반의 후단부에서 시작한다. 가슴지느러미 상단에는 1개의 연조가 있으며, 하단에는 분리 연조가 없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고 미병부는 가늘다. 비늘은 없고 미끈하다. 몸의 등 쪽은 흑갈색, 배 쪽은 연한 색을 띤다. 기수역의 돌이나 바위 아래에 서식한다. 바닥에 사는 작은 동물을 주식으로 한다. 어린 새끼는 연안의 표층이나 중층에서 동물성 플랑톤을 먹고 산다. 산란기는 3-5월로 추정된다. 유속이 빠르지 않은 곳에서 돌 밑에 산란실을 만들고 알을 외겹으로 붙인다. 알이 부화할 때까지 한마리의 수컷이 알을 보호한다.
강 하구의 기수역과 연안의 돌이나 자갈 아래에 서식한다.
[1]
몸은 미꾸라지 모양으로 가늘고 길며, 머리는 종편되었다. 주둥이는 둥글고, 아래턱이 위턱 앞으로 나와 입은 45° 각도로 위를 향해 열린다. 눈은 머리의 위쪽에 있다. 등지느러미는 1개로 몸의 후반부에 있다. 가슴지느러미의 가장 위쪽 1개의 연조가 분리되고, 하단에는 분리 연조가 없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둥글고, 미병부와 접하는 부위는 육질로 덮여 약간 비후되어 있다. 피부는 비늘이 없고 미끈미끈하다. 등은 흑갈색, 배는 연한 갈색을 띤다. 전장 약 6 cm.
[2]
중국, 일본
강원도의 고성군, 강릉시, 경상북도의 영덕군, 전라남도의 목포시, 해남군, 오나도군, 고흥군, 여수시, 경상남도의 남해시, 제주도의 남제주군, 서귀포시를 흐르는 하천
출처
[1].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2].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3]. 해양생물자원 인벤토리 남해 및 제주권역(2018년)
[4]. 해양수산생명자원 인벤토리 Ⅱ(2019년)
참고문헌
1.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and flora of Korea. Vol. 37.
2. Freshwater fishes. Masuda, H., K. Amaoka, C. Araga, T. Uyeno and T. Yoshino, 1984.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Vol. 1. Tokai University Press, Tokyo, Japan. 437 p. (text).
NCBI (Luciogobius guttatus)
COI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