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
LOADING
대용량 데이터의 경우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거친검은띠불가사리Luidia avicularia Fisher, 1913
배면은 평평하고 소주체에 덮어져있다. 소주체는 비교적 크며 완 종단의 열로 배열되어있으며 매우 가깝게 위치하고있다. 천공판은 비교적 작고 2개의 완사이의 연판에 가까기 위치하고있다. 상연판은 소주체에 덮여 있어 눈에 띄지 않으며 복판과 구별하기 어렵다. 하연판은 크고 횡단면에 4~5개의 압축된 가시가 있다. 측보대판은 3개의 평평하고 굽어진 가시가 있다, 복측판은 매우 작으며 눈에 띄지 않는다. 구판은 좁고 14~15개의 가시가 위쪽이나 입쪽으로 향하여 뻗어있다. 부젓가락 차극은 측보대판 가시 아래에 위치하고있다.
[1]
남중국해, 필리핀, 동인도, 북부 오스트레일리아
[1]
제주
[1]
출처
[1].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2]. 해양극피동물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
참고문헌
- Sook Shin, Donghwan Kim, A Newly Recorded Sea Star of the Genus Luidia (Asteroidea: Paxillosida: Luidiidae) from the Korea Strait, Korea. Journal of Species Research, 5(3):348-350.
경제적가치 | ||||
---|---|---|---|---|
관상·조경, 문화·관광 | 산업 소재 | 식용 | 약용 | 환경식재로 활용 |
3 | 3 | 3 | 3 | 3 |
생태적가치 | ||||
---|---|---|---|---|
법정보호종 | 개체(군)수 | 생육/서식환경 특이성 | 분포 특성 | 서직지내 생태적 역할 |
2 | 2 | 3 | 2 | 3 |
학술적가치 | ||||
---|---|---|---|---|
품종개발 및 생명공학연구 필요성 | 전통지식 연계성 | 유전적 특성 | 지식재산권 | 한국고유성 |
3 | 3 | 3 | 3 | 3 |
NCBI (Luidia avicularia)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