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해양생물
  • 수산해양생물종
  • 생물종 상세정보

생물종 상세정보

갯까치수염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Lam., 1789

분류체계 : Plantae식물계 > Angiospermae피자식물문 > Dicotyledoneae쌍자엽식물강 > Primulales앵초목 > Primulaceae앵초과 > Lysimachia참좁쌀풀속 >
  • 종설명(Description)

    •   바닷가 양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꽃은 5-7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1]

    •   전체에 털이 없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10-40cm, 붉은빛을 띠며, 아래쪽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며, 주걱형 피침형, 길이 2-5cm, 너비 1-2cm, 다육질,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가지 끝의 총상꽃차례에 달리며, 지름 10-12mm이고, 흰색이다. 꽃자루는 길이 1-2cm이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5갈래로 갈라지고, 녹색이다. 꽃부리는 5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이며, 둥글고, 지름 4-6mm이며, 익으면 꼭대기에 작은 구멍이 뚫려 씨가 나온다.
      [1]

    •   대만, 인도, 일본, 중국, 태평양제도
      [1]

    •   인천, 경기, 충남, 전북, 전남, 경남, 경북
      [1]

    •   관상용으로 이용한다.
      [1]

    • 출처

      [1]. 박만규. 1949. 우리나라식물명감.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현진오. 2003. 봄에 피는 우리꽃 386.

    • [2]. 박만규. 1949. 우리나라식물명감.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현진오. 2003. 봄에 피는 우리꽃 386.

    공간정보

    염기서열정보(Sequence)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염기서열

    • 사진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이미지

    • 지식채널

      • 논문정보

        검색결과 3

        논문정보 목록 - 제목, 내용, 저자, 저널명/발행자, 상세보기
        제목내용저자저널명/발행자상세보기
        몇 가지 재배조건이 분화용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Lam.)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관상식물인 갯까치수염의 분화용 재배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종자를 이용하여 육묘된 유묘를 사용하여 분화용 포트의 크기, 상토 혼합조성, 기비처리, 유묘의 소질 등의 이식조건과 추비농도, 차광정도, 왜화제 및 적심처리 등의 재배, 관리조건에 대한 생육효과를 2017년 7월 31일부터 10월 9일까지 약 10주간 조사하였다. 갯까치수염의 분화용 재배를 위해서, 피트모스:펄라이트(3:1) 혼합 용토에 $300-200-200mg{cdot}L^{-1}$(N-P-K)의 비료분을 첨가한 토양을 이색칼라 10호 화분에 충진하여 코트비료 10알을 기비로 시비하고, 200구 트레이에 셀당 2립씩 파종된 묘를 이식묘로 사용하는 것이 갯까치수염의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재배 및 관리방법으로는 차광처리는 하지 않고 재배하는 것이 생육에 좋으며, $250mg{cdot}L^{-1}$ hyponex를 추비하고 왜화제로 $500mg{cdot}L^{-1}$ daminozide를 처리하는 것이 갯까치수염의 분화재배에 적합하였다. 또한, 재배기간이 10주 정도일 때는 적심을 하지 않는 것이 분화용 생산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다양한 활용성을 가진 야생 초화류의 이용성 및 부가가치 향상을 위한 대량생산 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정은아,전기범,이재효,최혜민,문상아,연수호,이승연,권순태,이철희 한국자원식물학회 상세보기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Lam.)의 지피식물용 재배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몇가지 요인 갯까치수염은 앵초목 앵초과의 두해살이풀로 지상부가 고사하지 않고, 월동 후 봄까지 뚜렷한 윤기가 흐르는 잎을 가지며, 7~8월에 흰색 꽃이 피는 관상성이 뛰어난 우리나라의 자원식물이다. 이에 신 관상소재로서의 품목개발을 위해 관상 및 조경산업용 가치가 큰 갯까치수염의 지피용 작물로서의 재배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17년 7월 31일부터 10월 9일까지 약10주간 실험하였다. 이식묘의 소질별 생육효과, 기비의 시비와 혼합상토의 조성 및 포트의 크기 등의 이식조건, 차광처리 및 추비시비 등 재배관리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종자로 육묘한 이식묘의 소질로서는 200구 트레이에서 한 cell 당 2립씩 파종된 유묘가 지피용 갯까치수염의 재배에 적합하였다. 이식조건으로 코트비료의 기비는 하지 않고, 마사토:피트모스(3:1) 혼합 용토에 $300-200-200mg{cdot}L^{-1}$(N-P-K)의 비료분을 첨가한 토양을 충진한 4인치 포트에 이식하는 것이 생육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재배관리에는 차광처리를 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이 50 및 70% 차광처리보다 초장, 엽수, 엽면적,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생육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500mg{cdot}L^{-1}$ hyponex 추비처리를 한 것의 엽수가 36매로 다른 처리의 15~26매 보다 많았지만, 엽면적 및 생체중을 고려할 때 지피식물로서 10주간의 재배를 위해서는 추비하지 않는 것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정은아,전기범,최혜민,문상아,연수호,이승연,권순태,이철희 한국자원식물학회 상세보기
        갯까치수염(Lysimachia mauritiana Lam.)의 재배 및 UHPLC 패턴 분석, 호흡기염증 억제 효과 Objectives : Lysimachia mauritiana Lam. is known as a medicinal plant native to Korea that has antioxidant, anticancer,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ctivities. However, until now, research on the cultivation technology of L. mauritiana is insufficient, and there are no research data on the systematic cultivation method and mass production of L. mauritian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cultivation system of L. mauritiana. Methods : The cultivation environment of open land and facilities according to the growth of L. mauritiana was compared and tested. In addition, the equivalence of the origin collection extract and the cultivation extract was evaluated through Ultra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HPLC) patterns analysis according to cultivation and comparison of the effect of inhibiting respiratory inflammation using BEAS-2B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Results : The cultivation technology system was established through cultivation research of L. mauritiana raw materia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evaluating the equivalence of cultivated plants and L. mauritiana raw materials for suppressing respiratory inflammation, the same results were confirmed, and the equivalence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UHPLC pattern with L. mauritiana raw material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extract from cultivation research of L. mauritiana plants, which are native to Korea, can be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or medicine to improve respiratory health. 김동선,육흥주,김정미,고채석,장윤정,성윤영 대한본초학회 상세보기
      • 특허정보

        검색결과 1

        특허정보 목록 - 제목, 등록/출원번호, 출원인, 원문정보
        제목등록/출원번호출원인원문정보
        갯까치수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및 관절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1020230041807 한국 한의학 연구원 원문정보
      •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검색결과 1

        유용한 해양생물 이야기 목록 - 학명, 국명, 생리활성, 원료등록, 특징/이용
        학명국명생리활성원료등록특징/이용
        Lysimachia mauritiana 갯까치수염 항산화 식품원료 등록 화장품원료 등록 식품원료 등재, 화장품원료 등재
    • 자원정보

      검색바

      총 55건, 1/11 페이지

      보기 방식
      자원검색 및 신청 - 자원번호, 보유기관, 유형, 학명/국명, 채집지, 채집일, 분양가능 점수, 장바구니
      자원번호보유기관유형학명/국명채집지채집일분양가능 점수장바구니
      MABIK TP00000285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2013-09-23
      MABIK TP00000286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2013-09-23
      MABIK TP00000287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2013-09-23
      MABIK TP00000288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2013-09-23
      MABIK TP00000289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표본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남원읍 2013-09-23
    • 대내외 연계 정보

      LOADING

      대내외 연계 정보 데이터를 불러오는 중입니다.